[미디어펜=김규태기자] 소비자 선택의 자유 보장, 업태 간 칸막이 규제 철폐를 주장하는 소비자단체 컨슈머워치가 논평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의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를 비판했다.

컨슈머워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할 때는 언제고 블랙프라이데이?”라는 논평을 통해 국민들의 소비를 늘리고 싶다면, 더 질 좋고 더 값싼 곳으로 향하는 소비자의 발길을 막지 말라고 강조했다. 컨슈머워치의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에 대한 논평 전문은 아래와 같다.

정부에서 소비 진작을 위해 ‘코리아판 블랙프라이데이’를 추진한다. 10월 1일부터 14일까지를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정하고 최대 70%까지 할인 가능하다 홍보 중이다.

이번 행사에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전통시장, 온라인쇼핑몰 등 거의 대부분 유통업체가 참가한다.

정부가 블랙프라이데를 추진하는 이유는 소비 말고는 경제성장률을 높일 유인이 없기 때문이라고 경제신문은 분석한다. 지난 8월 수출이 1년 전보다 14.7% 급감했을 정도로 최근 수출이 둔화되고 있다. 또 대내외 경제상황 악화로, 기업들이 투자를 줄이고 있다.

이처럼 수출과 투자가 부진한 상황에서 정부가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3.0%)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소비 진작밖에 없어, 할인행사 시리즈를 내놓았다는 것이다.

악화된 경기지표에 속 타는 정부의 마음은 이해되지만, 이런 이벤트로 소비가 살고 경기 좋아질 거란 착각은 버렸으면 한다.

365일 할인 행사하는 대형마트를 강제휴무 시킨 정부였다.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가로막으며, 전통시장을 보호하고 대형마트에서의 과소비를 방지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면서 말이다.

그래놓고, 이제 와서 모든 유통업체가 대형마트처럼 할인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블랙프라이데이 성공을 위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이 행사 기간과 겹치면 휴업일을 다른 날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협조 요청을 했다고 한다.

코미디가 따로 없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대형마트는 이미 싸게 팔고 있어 추가 할인 품목이 마땅치 않아 고민”이란 말을 전했다고 한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는 유통업체들이 자율적으로 기획한 행사이지만, 우리는 정부가 기업을 강제로 동원해 할인행사를 펼치는 것이다.

각종 규제로 기업 활동을 옥죄고, 소비자 선택권까지 가로막는 법들을 쏟아내는 정부와 국회에서 소비 진작과 경제활성화를 논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소비를 늘리고 싶다면, 기업들 간의 치열한 경쟁을 막지 말고 더 질 좋고, 더 저렴한 곳으로 향하는 소비자들의 발길을 강제로 막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참에, 대형마트 의무휴업부터 폐지하라.

이유미 컨슈머워치 사무국장

컨슈머워치는 10월 1일 단통법 시행 1년을 맞아 통신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바른사회시민회의 및 컨슈머워치의 공동 주최로 열리는 통신정책토론회는 ‘단통법 1년 규제에 갇힌 통신정책 토론회를 논하다’라는 이름으로 10월 1일 오전 10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 620호에서 열린다.

김정호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및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가 인위적인 통신비 인하와 시장점유율 규제는 소비자에게 독이 된다는 주제로 발표한다. 패널로는 안현실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가 나서서 토론을 벌인다.

   
▲ 소비자 선택의 자유 보장, 업태 간 칸막이 규제 철폐를 주장하는 소비자단체 컨슈머워치가 논평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의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를 비판했다. 컨슈머워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할 때는 언제고 블랙프라이데이?”라는 논평을 통해 국민들의 소비를 늘리고 싶다면, 더 질 좋고 더 값싼 곳으로 향하는 소비자의 발길을 막지 말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