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0대 대기업 외국인 임원 100명 넘어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국내 100대 기업에 몸담은 외국인 임원이 1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현재 100대 기업 전체 임원은 1928명으로 이중 외국인 임원은 18개사에 101명이 소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임원 비중은 1.5%다.

   
▲ 100대 기업 외국인 임원 10명 중 8명 '삼성맨' /사진=미디어펜

단일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단연 최다였다. 전체 숫자의 절반이 넘는 57명이다. 글로벌 기업으로서 해외 핵심 인재 영입에도 상당히 공을 들인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줬다.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는 28일 '2015년 국내 100대 기업 내외국인 임원 현황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조사 대상 기업은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사로 100대 순위는 매출 기준이다. 외국인 임원은 반기보고서에 명시된 현황을 기준으로 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그룹 계열사에는 최근 통합 출범한 삼성물산(13명), 삼성엔지니어링(6명), 삼성SDI(3명), 삼성전기(2명) 등 모두 81명의 외국인 임원이 포진했다. 100대 기업 외국인 임원 10명 중 8명은 '삼성맨'인 셈이다.

삼성전자에는 부사장급 외국인 임원도 3명이나 된다. 팀 백스터(54), 왕통(53), 데이빗 스틸(49) 부사장이 주인공이다.

미국 로저 윌리엄스대 출신의 백스터 부사장은 미국법인에 재직 중이고 중국 북경우전대 출신인 왕통 부사장은 중국판매법인 담당 임원이다. MIT 박사 출신의 스틸 부사장은 북미총괄 기획홍보팀장으로 활약했고 현재 커뮤니케이션팀 소속 임원이다.

삼성에 이어 외국인 임원이 많은 기업은 한온시스템(구 한라비스테온공조) 4명, LG전자 3명, 현대자동차·대한항공·CJ제일제당 각 2명 등이다.

순혈주의가 강한 포스코를 비롯한 철강업체와 조선·중공업 부문에는 외국인 임원이 단 한 명도 없었다.

오일선 소장은 "해외 글로벌 기업들을 살펴보면 국적이 다른 인재가 10% 넘게 있더라도 이질적인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회사 비전에 집중하는 문화를 오랜 기간 구축하고 있다"면서 "우리 대기업도 외국인 핵심 인재가 잘 융합할 수 있는 기업 문화의 다양성을 구축하는데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