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경제원 “역사교과서…정도의 차이 있으나 대한민국 부정하고 좌파에 편향”

[미디어펜=김규태기자] 자유경제원은 6일 자유경제원 리버티홀에서 “원로에게 듣는다-역사교과서 좌편향, 바른 역사교육의 길은 어디에 있는가”를 주제로 현안토론회를 개최했다. 역사교과서는 기술의 좌편향, 교학사 역사교과서 채택방해 사태, 국정화 추진 등 현재 한국사회의 가장 뜨거운 현안이다. 이를 바라보는 원로들 역시 현행 역사교과서의 내용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고 국정화 추진이 고려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사회학)는 “과거 국정에서 검정교과서로 전환될 당시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측면이 ‘다양성’이었다”면서 “그러나 현재 검정 역사교과서들은 오히려 다양성을 파괴하는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고 안타까움을 밝혔다.

송 교수는 “말로는 검정교과서이고 다양한 교과서 중 학교가 알아서 선택을 한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학교에서 채택하는 교과서들은 출판사에 따라 정도차이는 있으나 한결 같이 대한민국을 부정하고 좌파성향을 강화하는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검정교과서의 취지를 훼손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송 교수는 “국정교과서라 할지라도 그 내용면에서 다양성을 기한다면 국정교과서에 대한 우려는 상당부분 불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봉 세종대 석좌교수(경제학)는 “좌편향 역사를 바로잡겠다며 제작된 교학사 역사교과서에 대한 전교조 등 세력의 집단적 채택방해를 기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소위 ‘자율적 검인정체제’를 수호하자고 외치는 이들이 오히려 다양한 역사를 알아야 하는 국민의 권리를 무참히 훼손했다는 것에 진실이 있다”고 언급했다. 전체주의적, 일방적, 획일적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실을 스스로 만든 이들이 역으로 국정화에 반대하는 것은 심각한 모순이라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국가가 이런 ‘무정부적 시장’을 방치하는 것은 국가의 소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이라면서 “국정교과서로 균형의 역사를 가르칠 수 있다면 이것이야 말로 올바른 교육”이라고 밝혔다.

   
▲ 자유경제원은 6일 자유경제원 리버티홀에서 “원로에게 듣는다-역사교과서 좌편향, 바른 역사교육의 길은 어디에 있는가”를 주제로 현안토론회를 개최했다. 역사교과서는 기술의 좌편향, 교학사 역사교과서 채택방해 사태, 국정화 추진 등 현재 한국사회의 가장 뜨거운 현안이다. 이를 바라보는 원로들 역시 현행 역사교과서의 내용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고 국정화 추진이 고려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복거일 작가가 발표하고 있다./사진=자유경제원

양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는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반체제 문화 세력의 헤게모니에 대해 우려했다. 이들이 국정교과서 문제를 마치 독재세력이 한 가지 교과서를 강요하는 것과 같이 국민을 호도하고 있으나, 이는 진실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양 교수는 “좌파세력이야 말로 획일적인 교과서, 한 교과서로 가르치는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현재 역사교과서 시장은 어떤 교과서를 채택하던지 대한민국의 역사를 긍정적으로 배울 길은 요원하다”고 강조했다.

복거일 작가는 “교과서 시장은 입시와 연계되어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판임에 분명하다”고 말문을 열었다. 복 작가는 “중등교육과정은 사회화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고 중등교과서 역시 그 중요성이 막대하기에 교과서 문제가 간단치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 작가는 “그렇기에 학생들을 가르침에 있어 현대사의 중요 사건과 의미들을 토론의 장을 펼치듯 둘 수는 없는 노릇이며 학생들이 배워야할 역사의 정설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과서 문제는 학문의 자유를 우선시하는 대학교의 교재선택과는 전혀 다른 문제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