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고물가·고금리로 이어지는 경기 침체에 미국의 고관세 리스크까지 겹치는 등 국내외 불안한 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가전 기업들은 신흥 시장을 공략하며 돌파구 마련에 나선다.
|
 |
|
▲ 삼성전자 모델이 삼성스토어 신세계 강남점에서 럭셔리 빌트인 가전 브랜드 '데이코(Dacor)'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
31일 국제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전 수출은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기간 전체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는 96.1로 100을 밑돌았으며, 그 중에서도 가전 품목은 작년 4분기 97.5에서 올해 1분기 52.7까지 떨어졌다.
내수 시장 또한 마찬가지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말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를 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보다 12.3포인트 줄어든 88.4로 나타났다. 수출 부진은 북미와 유럽연합(EW)의 수요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내수 부진은 소비 심리 악화가 주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국내 가전 기업은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는 시장 공략에 나서거나 기존 주요 시장 입지 다지기에 나서면서 대비하는 모습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최근 중국 출장 길에 중국개발포럼(CDF)에 참석한 데 이어 샤오미와 비야디(BYD) 등 전기차 기업들을 찾으며 글로벌 경영 행보를 보였다. 2년만의 포럼 참석으로 이 회장의 이같은 행보를 두고 업계에선 중국 내 입지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평가하고 있다.
중국은 삼성전자에게 주요국으로 자리한다. 실제 삼성전자의 지난해 중국 수출액은 약 65억 원으로 글로벌 시장 중 가장 많은 매출고를 올린 나라다. 직전년도와 비교해서는 54% 증가했으며, 61조 원을 기록한 미국 수출액보다 많은 액수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2012년 이후 30조원 넘게 투자한 낸드플래시 공장을 운영 중이며, 삼성SDI는 톈진에서 스마트 기기·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모듈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삼성전기는 톈진에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사업장을 운영 중이다.
중국 시장 내 입지를 다지는 한편 인도 내 투자도 강화하면서 미중 갈등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도 대비하는 모습이다. 가파른 경제 성장세와 젊은 인구를 기반으로 시장 잠재력이 높은 인도는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역 마찰에서 자유로운 편에 속한다.
삼성전자는 1995년 인도 시장에 진출, 노이다와 스리페룸부두르에 공장을 두고 생활 가전제품·스마트폰·노트북 등을 생산 중이다. 또 인도 내 연구개발(R&D)센터와 삼성반도체인도연구소(SSIR), 디자인센터 등을 운영하면서 현지 인프라 확충에도 힘쓰고 있다.
이 회장은 지난해 7월 뭄바이 IT시장 점검에 직접 나서 현지 임직원들과 만나 "치열한 승부 근성과 절박함으로 역사를 만들자"고 당부하기도 했다. 또 인도 갑부인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그룹 회장 아들의 결혼식에도 참석하는 등 인적 네트워크에도 힘쓰고 있다.
LG전자는 아시아, 중남미, 중동·아프리카 등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사우스' 잠재력 활용을 성장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 중에서도 글로벌 사우스의 대표 지역인 인도 공략에 적극적이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등 현지 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만큼 인도 국민에게 널리 사랑받는 '국민 브랜드'로 입지를 다진다는 방침이다.
지난 28년 간 구축해 온 현지 사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인도 특화 라인업, 생산, 서비스, R&D 인프라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로부터 LG전자 인도 법인의 기업공개(IPO) 계획을 승인 받기도 했다.
이번 IPO를 통해 LG전자는 최대 15억 달러(2조2000억 원)의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다. 조달 자금을 바탕으로 인도 현지 가전 생산량을 늘리고, 냉난방공조(HAVC)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이미 포화 상태인 국내 가전 시장에서 가전에 대한 신규 수요나 교체 수요 모두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며 "가전 기업들이 잠재력이 높은 해외 시장에 투자를 늘리며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