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 추경, 예비비·정부부처 예산으로 편성"
"산불 이재민 위한 조립주택 2700동 설치"
"이재민에 최대 1억3000만원 전세임대료 지원"
"축산 농가, 사료 무상·가축 진료·축사 복구 지원"
[미디어펜=이희연 기자]정부와 국민의힘은 3일, 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영남 지역 이재민 지원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임시조립주택 설치, 주택 자금 융자, 긴급 생활안정자금 지원 등 구체적인 지원 대책을 제시했다.

당정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산불 피해 대책 마련 당정협의회'를 열어 이같은 지원책을 집중 논의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협의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정부측에 3조 원 규모의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추경 편성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오른쪽 다섯번째)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불피해대책마련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3./사진=연합뉴스


김 의장은 "아마 이 3조 원은 예비비와 정부 부처 예산으로 그렇게 편성이 될 것 같다"며 "1만 리터 이상의 대형 헬기 진화 장비 구입이 시급한데, 이 부분을 정부 예산에 반영 조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는 임시 조립주택 약 2700동을 설치하고, 주택이 유실·파손된 이재민을 대상으로는 재해주택복구 자금 융자를 최대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민간주택 입주를 원하는 특별재난지역 이재민에게는 최대 1억3000만원의 전세 임대료도 지원한다. 

김 의장은 "특별재난 지역에 1억2400만 원까지 연 1.5% 초저금리로, 3년 거치 17년 균등 상환이 조건"이라며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을 중심으로 피해 조사, 생계 지원, 지역 공동체 회복 등의 목표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피해를 입은 축산업 농가를 대상으로는 사료 무상 지원, 가축 진료, 축사 복구 지원 등의 보상책을 제시했다. 

재해보험에 가입한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에는 추정 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하고 가구 당 최대 3000만원의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산불 피해를 입은 지역 내 66개 소상공인·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초저금리로 긴급경영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다만 당정은 현재 추경 편성안의 시기를 특정하진 않았다. 김 의장은 "시기를 특정하지는 않았고 최대한 빨리 편성해 제출하겠다는 교감은 돼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4월 중 산불 관련 특별법 관련 의견을 수렴한 뒤, 5월과 6월 해당 산불피해지원 특별 법안을 발의한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이희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