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최근 물가상승률은 한국은행의 목표수준(2.0%)에서 움직이고 있으나, 팬데믹 이후 상당기간 인플레이션이 지속돼 온 결과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상당히 높아졌다. 특히 가공식품과 외식물가는 생산비용 상승이 가격에 장기간 전가되면서 취약계층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
 |
|
▲ 자료=한국은행 제공. |
한은이 18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실린 최근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 흐름과 수준에 대한 평가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생활물가는 소비자물가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물가수준을 높여왔다.
한은은 "팬데믹 기간 중 공급망 차질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기상여건 악화 등 대내외 공급충격이 중첩되면서 생활물가 비중(32.4%)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물가가 크게 올랐다"며 "그 결과 고인플레이션이 시작된 2021년 이후 최근 5월까지 생활물가의 누적 상승률은 19.1%로 소비자물가(15.9%)보다 3.2%포인트(p) 높았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하반기 중 농산물가격과 국제유가 안정에 힘입어 큰 폭으로 축소됐던 생활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률 격차는 올해 들어 다시 확대됐다. 한은은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생활물가 상승률에 대한 가공식품 기여도는 지난해 하반기 0.15%p에서 올해 1~5월 중 0.34%p로 두 배 이상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가공식품 등 필수소비재 가격 인상은 지난해 이후 누적된 수입 원자재가격과 환율 상승이 시차를 두고 반영된 부분도 한몫했다. 다만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졌던 시기에 가공식품 가격이 다수 인상되면서 소비심리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장기간 이어진 고인플레이션으로 실질구매력이 감소하면서 가계의 부담이 증가했다. 지난 2021년 이후 가계의 명목구매력이 높은 물가상승률은 상쇄할 정도로 충분히 증가하지 못하면서 2021년부터 2025년 1분기 중 실질구매력 증가율은 팬데믹 이전(2012년~2019년)과 비교해 상당폭(3.4%→2.2%)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생활물가 상승이 누적될 경우, 소득계층간 인플레이션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같은 품목 내에서도 저가상품 가격이 더 크게 상승하는 '칩인플레이션 현상'은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더 심화시킨 것으로 평가했다.
저소득층은 저가상품에 대한 지출 비중이 이미 높기 때문에 저가상품 가격이 오를 경우 소비대체가 어려워 특히 더욱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실제로 이 같은 칩인플레이션을 고려할 경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간 실효 물가상승률 격차가 추가로 확대됐다고 한은은 말했다.
한은은 "생활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체감물가가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상황은 가계 인플리에션에 영향을 미쳐 중장기적 관점에서 물가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기업간 경쟁을 촉진하는 한편 원재료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특정 품목의 충격을 여타 품폭으로 확산되는 정도를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가공심품 등 생활물가 수준 상승으로 취약가계의 부담이 크게 높아져 있는 현실을 감안해 단기적으로는 할당관세 등을 통해 농산물 등 수입원재료 가격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