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은행권의 4월 원화대출 연체율이 전달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연체가 소폭 줄어드는 데 그친 반면,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급감한 까닭이다.
|
 |
|
▲ 은행권의 4월 원화대출 연체율이 전달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연체가 소폭 줄어드는 데 그친 반면,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급감한 까닭이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4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7%로 전월 말 0.53% 대비 약 0.04%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말 0.48%에 견주면 약 0.09%p 상승한 수치다.
연체율 악화는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크게 줄어든 까닭이다. 4월 중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 7000억원에 그쳐 3월 4조 1000억원 대비 약 2조 4000억원 급감했다. 같은 기간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 9000억원으로 전달 3조원 대비 소폭 감소에 그쳤다. 이에 4월 중 신규 연체율(4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3월 말 대출잔액)은 0.12%로 전달과 대동소이한 모습을 보였다.
대출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가계 모두 연체율이 악화됐다.
우선 기업대출 연체율은 0.68%를 기록해 전월 말 0.62% 대비 약 0.06%p 악화됐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13%로 전달 0.11% 대비 약 0.02%p 상승했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도 0.83%로 전달 0.76% 대비 약 0.07%p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에서 중소법인 연체율은 약 0.09%p 상승한 0.89%,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03%p 상승한 0.74%로 각각 집계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약 0.02%p 상승한 0.43%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전달 0.29% 대비 소폭 상승한 0.30%를 기록한 반면,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약 0.07%p 상승한 0.86%에 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및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토록 할 것"이라며 "개인사업자 등 취약차주의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연체우려 차주 등에 선제적인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