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소윤 기자]정부의 고강도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서울 지역 은행권의 대출 신청 규모가 절반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습적인 대출 규제 효과로 거래 감소세가 확연해지면서 가계대출 폭증세도 크게 꺾였다.
|
 |
|
▲ 정부의 주담대 규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서울 지역 은행권의 대출 신청 규모가 절반 이상 급감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6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출 규제 발표 직후 첫 주(6월 30일~7월 3일) 서울 지역 은행권의 주담대 일평균 신청액은 약 3500억 원대로 집계됐다. 이는 규제 발표 직전 주(6월 23일~27일) 7400억 원대와 비교해 52.7% 감소한 수치다.
특히 예고 없는 규제 발표가 이뤄진 지난달 27일 하루에는 주담대 신청액이 1조 원에 육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대출 조이기'가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대출 신청액과 승인액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규제 효과를 평가하고 있다. 실제 가계대출 실행액은 주택 매매와 1~3개월가량의 시차가 발생하는 반면, 대출 신청액 등은 매매 계약 시점과 시차가 크지 않아 시장 심리와 동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불장'을 이끌던 지역의 대출 신청액도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강남권 아파트 가격 급등으로 대출액이 컸던 만큼, 규제 영향도 해당 지역에서 두드러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은 매수 심리 지표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5월 첫째 주(100.8) 이후 7주 연속 상승세가 꺾인 것이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한 영향으로 은행들이 소극적으로 주담대를 취급하면서 신청액이 줄어든 영향도 있다. 금융당국 목표치 감축에 따라 올해 하반기 가계대출은 기존 총량 목표 대비 10조원 이상 줄어야 한다.
다만 금융당국은 시장과 언론에 매달 공표되는 대출 실행액 기준으로는 이달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두 달 전 거래를 마치고 주담대 신청을 미리 해둔 규모만도 상당해 7월 대출 증가세가 확 꺾이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된다.
[미디어펜=박소윤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