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이끄는 대북특사단 5명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5일 접견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왼쪽부터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정의용 실장,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가정보원 2차장./사진=청와대 제공 |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의용 수석특사가 이끄는 대북특별사절단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파격적인 환대를 받았지만 북미대화로 이어지는 ‘한반도 비핵화’의 실마리를 찾을지 주목된다.
먼저 청와대는 “실망스럽지 않은 결과가 있었다”며 비핵화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을 확신했다. 하지만 북한은 자신들의 매체를 통해 남북정상회담에만 포커스를 맞췄다.
6일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김정은 위원장과 대북특사단의 접견 및 만찬과 관련해 “결과가 있었고 실망스럽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비핵화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그랬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날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최고 령도자 동지께서는 남측특사로부터 수뇌상봉과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뜻을 전해들으시고 의견을 교환하시였으며 만족한 합의를 보시였다”고 전했다.
또 조중통은 “최고 령도자 동지께서는 남측 특사대표단 일행과 북남관계를 적극적으로 개선시키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데서 나서는 문제들에 대해 허심탄회한 담화를 나누시었다”고 보도했다.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데서 나서는 문제’라고 한 조중통의 보도 대목을 미루어볼 때 북한 핵 문제나 한미군사훈련 등을 언급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면서 이와 관련해 과연 김정은 위원장이 무엇을 언급했는지 관심이 쏠린다.
조중통이 ‘김정은 위원장이 허심탄회한 담화를 나누었다’고 한 것으로 볼 때 실제로 문 대통령이 비핵화의 길로 제시한 ‘선 핵동결-후 핵폐기’에 대한 대화가 있었을지도 궁금하다. 이 같은 내용은 문 대통령의 친서에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으며, 정의용 실장은 전날 출국을 앞두고 “한반도의 비핵화와 진정하고 항구적인 평화를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문 대통령의 확고한 뜻과 의지를 분명히 전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북한이 ‘수뇌상봉’이라는 말로 남북정상회담에 합의를 봤다고 말한 대목에서도 앞서 문 대통령이 지난달 북한 김여정 특사 방남 때 정상회담 제의를 받자 "앞으로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켜 나가자"고 했고, 그 여건은 결국 북핵 문제에서의 진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김여정 특사 귀환 이후 언론을 상대로 남북정상회담의 전제 조건으로 북미관계 개선을 내걸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북한과 대화를 위한 조건으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핵폐기(CVID)’에 대한 의지를 표명해왔다.
따라서 대북특사단이 북측과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실망스럽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고 한다면 북미대화와 핵·미사일 문제와 관련해 진전된 논의가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북한 매체가 ‘만족한 합의’가 이뤄졌다고 보도한 점에서 비핵화 또 북미대화와 관련해 김정은 위원장의 진전된 언급이 나왔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높아진다.
하지만 이미 헌법에 ‘핵보유국’임을 명시한 북한은 최근에도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핵위협이 근원적으로 청산되지 않는 한 그 어떤 경우에도 핵과 탄도로켓을 협상탁에 올려놓지 않을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고수해왔다. 이를 볼 때 김 위원장이 단도직입적으로 비핵화 의향을 밝혔을 가능성은 적고, 다만 우선 북미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김 위원장의 언급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결국 이날 저녁 특사단의 귀환 이후 발표를 통해 향후 북미대화나 남북정상회담이 가능할지 여부는 김정은이 내놓을 비핵화 표명 수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말을 했는지가 북한이 정말 협상할 의지가 있는지 또는 다른 의도가 있는지 추측할 수 있는 풍향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