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한 대출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한시적으로 9월까지 지원했던 은행권의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부터는 대출부실이 본격적으로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
|
|
▲ 사진=연합뉴스 |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4월부터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6개월간 대출상환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9월 이후부터 한계 차주를 중심으로 대출부실이 본격화될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2020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충격이 연중 내내 지속된다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결과,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50.5%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다시 말해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이 전체 기업의 절반을 넘어선다는 얘기다.
은행권의 대출 만기연장 실적은 지난달 19일 기준으로 40조원을 넘어선 상태다. 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총여신 연체율은 평균 0.31%로 전달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다. 현재는 다소 안정적인 수준이지만, 대출부실이 현실화할 경우 연체율 상승도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이를 반영해 금융당국은 최근 금융권에 시행 중인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조치 재연장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전날 열린 금융리스크대응반 회의에서 “운영기간 만료가 가까워짐에 따라 기한 연장여부 및 정상화방안 등에 대해 금융회사들과 함께 고민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코로나 사태) 초반만 해도 코로나가 6개월 정도면 종식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미 6월말이 됐다”면서 “계획대로 (코로나 사태가) 끝나면 ‘해피엔딩’이지만, 다시 (대출만기를) 연장하고 2라운드를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은행권은 당국의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조치 재연장 여부를 부담스러워하면서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경기부진에 따른 실물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추가적인 만기연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한다”면서도 “여신 회수 없이 만기를 재연장할 경우 금융사가 떠안게 되는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금상환이 어렵다면 분할상환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지원하는 것이 서로에게 조금이라도 부담을 더는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