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한국 연근해 평균 수온이 56년간 1.44도 오르고, 동해는 수온이 1.9도나 오르면서 오징어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 오징어잡이 현장./사진=해양수산부 제공 |
13일 국립수산과학원의 '2024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68∼2023년 56년간 전 지구 표층 수온이 0.7도 오르는 사이 한국 해역의 표층 수온은 1.44도 상승했다.
표층 수온 상승 폭은 동해가 1.9도로 가장 컸으며 서해 1.27도, 남해 1.15도 순이었다. 특히 연근해 중에서도 동해의 수온 상승 폭은 서해의 1.5배나 됐다.
이 같은 수온 상승 영향으로 과거 '국민 생선'으로 불리던 명태의 어획량이 급감했다. 이뿐만 아니다. 오징어 또한 씨가 마르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1980년대 명태 연간 어획량은 10만t(톤)이 넘었지만 지난 2007년 이후 포획략은 1~2t에 불과해 희귀해졌다가 2019년부터 어획이 전면 금지됐다.
오징어는 2000년대 연평균 20만t 가량 잡히다가 지난해는 역대 최저치인 2만3000t까지 줄어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동해 수온 상승으로 어군이 형성되지 않는 탓이다.
명태와 오징어뿐만 아니라 살오징어와 멸치, 고등어 어획량도 감소 추세다. 반면 주요 난류성 어종인 방어, 전갱이, 삼치는 지난 40년간 어획량이 증가했다.
우리나라 앞바다는 앞으로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관측된다. 수산과학원은 2100년까지 우리 바다 수온이 시나리오에 따라 1∼4도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