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및 전국 수협 주축 ‘기후변화대책위원회’ 발족
전국 수산피해 면밀 파악... 국가적 지원 확대 필요 피력
양식보험 사고 매년 급즙, 어장 변화로 어민 생계도 타격
노동진 회장 “기후변화 피해 최소화 현실적 대안 마련 주력”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수협중앙회가 바다 수온 상승으로 양식 수산물 폐사가 급증하고 어장 변화로 어획 부진 피해가 잇따르자 기후변화에 대한 총체적 대응조직을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 수협중앙회가 갈수록 심해지는 기후변화로 인한 어업피해에 대응키 위해 16일 '기후변화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사진=수협중앙회


수협중앙회는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분야 피해를 면밀히 분석하고, 현장 의견과 요구사항을 수렴해 전사적인 대책을 마련함과 더불어 이를 공론화해 국가적 지원을 촉구해 나갈 예정이다. 이에 이 같은 임무와 역할을 맡을 ’기후변화대책위원회(기후대책위)‘를 조직하고 16일 본사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기후대책위가 발족하게 된 것은 양식과 연근해 수산업 전반에 걸쳐 막대한 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협중앙회의 양식보험 사고 신고에 따르면, 이달 16일 기준 올해 고수온으로 인한 우럭, 넙치, 등 양식 수산물 추정 누적 피해는 48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20억 원, 2023년 137억 원으로 피해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적정 수온을 찾아 이동하는 오징어, 참조기, 멸치 등 회유성 어종을 중심으로 어장 이동도 부추겨 적기 생산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전국 수협 회원조합 위판 통계를 보면, 2013년~2023년 사이 오징어, 참조기, 멸치의 위판량은 각각 79%(11만8716t→2만4660t), 56%(3만3215t→1만4544t), 50%(9만4955t→4만7302t)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강원과 경북에서 위판된 오징어는 95%(7만8354t→4279t) 줄었지만, 오히려 경인·충남·전북에서는 약 2배(3855t→7593t) 증가했다.

삼치 주 생산지였던 경남의 경우 1만1737t에서 5490t으로 절반 감소한 반면, 전남은 2654t에서 1만1631t으로 4배 넘게 증가하며 최대 생산지로 부상했다.

수협중앙회는 이 같은 어족자원 분포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어획 부진으로 생계 어려움을 겪는 어업인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방점을 두고 이번 기후대책위를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기후대책위는 세부적으로 △고수온 등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분야 영향분석 및 자원변동 현황 파악 △기후변화 대응 전략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대외활동 △수산정책 및 제도개선 지원 방안에 대한 어정 활동 등의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지역 및 해역별 특성을 감안한 종합적인 대책 방안을 마련해 정부와 국회 등 국가 차원의 지원 필요성도 피력해 나갈 계획이다.

기후대책위는 동·서·남·제주해 연안 4개, 근해 1개, 어·패·해조류 3개 등 총 8개의 분과대책위원회를 두고,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이를 총괄하는 위원장을 맡았다. 전국 91곳 조합장은 각 분과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해 현장에서 지역별 수산물 생산 동향 및 현황을 공유하는 한편, 향후 수산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과 관련한 대국회 및 정부 활동에도 나선다.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국립수산과학원, 부경대, KMI, 해조류연구소, APEC 기후센터 등 외부 그룹도 참여해 전문적인 대응을 돕는다. 한국수산산업총연합회,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 한국여성어업인연합회 등 국내 유력 수산단체들도 협력기관으로 뜻을 함께했다.

   
▲ 노동진 수협중앙회 회장이 기후변화대책위원회를 통해 수산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 마련에 주력하겠다고 밝히고 있다./사진=수협중앙회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기후변화로 수산물이 제때 생산이 되지 않으면, 수산업계 피해를 넘어 국민 먹거리 공급 등 식량 안보 차원에서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앞으로 이번 위원회를 중심으로 전국 수산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