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홍샛별 기자] 탄핵 정국으로 증시 불확실성이 증대되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과거 탄핵 국면 속 증시 흐름에서 실마리를 찾으려는 노력도 이어지는 모습이다.
|
|
|
▲ 탄핵 정국으로 불확실성이 증대되며 증시 혼란도 가중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79포인트(1.47%) 내린 2392.37로 출발해 장 초반 1.7% 넘게 하락하며 2380대로 밀렸다. 지수는 장중 2374.07까지 하락하면서 52주 최저가 기록을 갈아치우기도 했다.
이날 10시 40분 현재는 1.42% 내린 2393.77에 머물고 있다. 투자자별로는 개인 홀로 4275억원어치를 내다 팔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60억원, 3660억원어치씩을 사들이는 중이다.
특히 지난 6일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750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던 개인들의 투매 양상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지난 주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이 불발된 이후 첫 거래일인 만큼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성이 이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탄핵 국면이 장기화되면서 강달러 현상으로 환율이 불안정해지는 동시에 투심 역시 약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과거 탄핵 국면에서의 증시 흐름을 미루어 볼 때 정치적 불안 요소가 변동성을 키울 수는 있지만 결국은 통화 정책과 경기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게 증권가 중론이다.
앞서 국내 증시가 이러한 정치적 불확실성에 놓인 첫 사례는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집권 시기였다.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발의된 2004년 3월 9일부터 의결이 이뤄진 12일까지의 나흘간 코스피는 연일 하락했다. 이 시기 하락률은 5.70%에 달한다. 정치 불확실성에 휩쓸린 기간을 더 넓게 보면,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탄핵안이 본격 논의되기 시작한 2월 말부터는 코스피가 10% 이상 빠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국면이 본격화된 지난 2016년 11월에도 증시 변동성이 높아졌다. 당시 코스피는 정국 혼란과 함께 급락했었지만, 탄핵안의 의회 통과 이후에는 오히려 안정을 찾고 이듬해인 2017년에는 상승 추세를 나타냈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시 코스피가 하락한 것은 미국과 중국의 동반 기준금리 인상이 중요한 이유였다”면서 “2004년과 2017년 코스피 반등은 수출 경기 호조가 배경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이어 “내년 주요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내 수출 경기의 반전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016년 10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국내 주식시장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확대됐다”면서 “글로벌 경기 회복과 수출 회복 흐름에 힘입어 2017년 초부터 상승세가 재개됐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는 국내 기업들의 수출 둔화와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국면으로 대내외 펀더멘탈 환경이 부정적”이라며 “실적보다는 정치적 이벤트에 따른 매크로 변수들의 변동성을 관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