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낮지만 안정성 장점인 공공주택 사업 잇따라 진출
올해 5조 원 규모 확대…정부의 사업 확대 의지 맞물려 관심 커져
[미디어펜=조성준 기자]대형 건설사들이 중견 건설사들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공공주택 사업 수주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되자 민간사업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공사업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 수도권의 한 건설 공사 현장 전경./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시공능력평가 최상위권에 있는 건설사들은 최근 잇따라 공공주택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지난해 12월 24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시행한 평택고덕 A-56블록 공공주택건설사업 민간사업자 공모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해당 컨소시엄에는 동부건설, 우미건설, 흥한주택종합건설 등이 참여했다.

또 지난해 3기 신도시에선 하남교산 A2블록과 남양주왕숙 B1·B2·A3블록도 컨소시엄을 통해 우선협상대상자에 올랐다. 이 컨소시엄에는 동부건설, 계룡건설산업 등이 동참했다.

다른 건설사들도 마찬가지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12월 22일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전농9구역' 공공 재개발사업을 수주했다.

삼성물산과 컨소시엄을 꾸렸던 GS건설은 지난해 8월 서울 송파구 거여동 '거여새마을' 공공 재개발사업 시공권을 획득했다.

GS건설은 LH가 공공 재개발로 진행하기 위해 시행하는 서울 중랑구 중화동 '중화5구역'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지난해 11월 선정되기도 했다.

DL이앤씨도 지난해 6월 금호건설, HJ중공업과 컨소시엄을 통해 3기 신도시 가운데 부천대장 A5·A6블록의 우선협상대상자에 이름을 올렸다.

대형 건설사들이 과거에 눈여거보지 않던 공공주택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것은 국내 주택경기 침체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지난해 대형 건설사들은 공사비 상승 압박을 느끼며 사업성이 확실한 곳에만 투자하는 선별수주 전략을 펼쳤다. 올해 주택 침체가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선별수주를 넘어 민간수주를 줄이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그 대안으로 공공주택 사업 분야에 노크하고 있는 셈이다.

민간참여 사업은 LH 등 공공시행자와 민간 건설사가 공동으로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건설사가 LH와 협의체를 꾸려 사업을 진행한다. 민간 사업자가 LH의 공공택지를 매입해 시행·시공·분양 등을 총괄하는 형태다.

공공주택 사업은 민간사업에 비해 수익성이 낮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업계에 따르면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은 올해 5조 원 규모로 시장이 커졌다. 실제로 LH는 3기 신도시에서만 민간참여 주택건설사업 물량을 13개 블록 1만319가구로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도 지난해 12월 '민간 공공주택 도입 시 주택도시기금의 안정적 운영방안'이라는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공공주택 사업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 부동산 호황기 때 공공주택 사업은 중견 건설사의 주요 수익원이었지만 최근에는 대형 건설사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경제 전반에 대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건설업계도 수익성보다는 안정적인 사업을 최우선으로 보는 시각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성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