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재훈 기자]올해 BYD(비야디)를 시작으로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국내 시장 공략이 확대되면서 배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내 잉여 생산분을 저렴한 가격으로 해외로 내보내는 것이라는 해석과 한국을 선진국 진출에 앞선 시험대로 본다는 의견이 나온다.
아울러 중국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앞서 대미 수출 우회 경로로 한국을 낙점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제기된다.
|
 |
|
▲ BYD 씰(Seal)/사진=BYD |
12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차주 국내 출범 행사를 여는 BYD를 시작으로 지커, 샤오미, 샤오펑 등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국내 시장 공략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우선 해당 업체들이 한국 시장을 낙점한 이유는 중국 내수 시장의 과잉생산이 꼽힌다. 최근 석유화학, 철강 업계를 중심으로 커졌던 중국 공급 과잉 문제가 자동까지 확산된 것이다.
중국의 신에너지차 시장 침투율은 2019년 4.7%에서 2023년 31.6%로 증가해왔다. 하지만 생산능력 확대가 더욱 큰 폭으로 커지면서 실제 가동률은 50% 이하로 떨어졌다고 전해진다.
이로 인해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내부적으로 경쟁이 격화된 상황이다. 2023년 말 기준 중국 전기차 브랜드는 52개, 전기차 모델은 187개였다. 지난달 중국 내 전기차 평균 판매 가격은 전달 대비 9.6% 하락한 22만5000위안(약 4455만원)이었다.
최재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중국은 전기차의 글로벌 수요까지 고려해 생산능력을 지속해서 늘려왔고 현재 과잉생산능력이라는 중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외로 나와야만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가격·물량 공세를 통한 밀어내기 현상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유럽과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문턱을 높이면서 한국이 중국 업체의 대안으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유럽연합(EU)은 작년 10월 말부터 중국산 수입 전기차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최고 45.3%로 인상했고 미국은 25%에서 100%로 대폭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에 비해 한국은 대중 의존도를 고려하면 중국산 전기차 유입 억제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이 중국 전기차업체들의 선진국 진출에 앞선 시험대로 보인다는 의견도 나온다. 상대적으로 구매력이 높으면서 취향이 까다로운 한국에서 합격점을 받는 점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인다는 것이다.
자동차시장 전문 조사기관 마크라인즈에 따르면 2023년 한국 내 자동차 판매량은 171만8000대로 전체 11위를 차지했다. 중국·북미·유럽을 제외하면 세계 4위 시장이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박사는 "한국을 선진국 시장으로 가기 위한 교두보 내지는 시험 잣대로 활용하는 게 아닌가 싶다"면서 "자동차 수요가 다양하고 고급화돼있기 때문에 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 성공한다면 미국이나 유럽을 공략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전기차 보급 속도가 아직 낮다는 점도 중국 업체들로서는 기회로 볼 가능성이 크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63만8506대로 그중 전기차는 14만6883대(9%)에 그쳤다. 2023년 기준 세계 평균은 18%다.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한국을 대미 우회 수출 경로로 고려한다는 해석도 함께 나온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고율 관세 부과를 드러내면서 중국의 우회 수출 경로로 지목된 멕시코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미 수출의 새로운 우회 창구로 한국을 고려한다는 것이다. 한국은 미국과 FTA(자유무역협정)가 체결돼 대미 무역 환경이 조성된 가까운 시장으로 꼽힌다. 각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국내 생산시설 인프라를 활용해 차를 생산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