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10시,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2006년생에 최대 15만 원
[미디어펜=이석원 문화미디어 전문기자] 조금만 신경 쓰면 최대 15만 원까지 문화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단, 6월 말까지는 단 한 번이라도 혜택을 통한 문화 생활을 누려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오는 6일 오전 10시부터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인 ‘청년 문화예술패스’ 발급을 공식 누리집(youthculturepass.or.kr)을 통해 신청받는다.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소득과 관계없이 올해 19세가 되는 국내 거주 2006년생 대한민국 국민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전국 17개 시도별로 정해진 청년 수에 따라 6일 오전 10시부터 신청순으로 발급한다. 지역별로 발급 상황에 따라 조기에 마감될 수 있으며, 청년들은 발급받은 ‘청년 문화예술패스’ 포인트를 뮤지컬, 클래식, 콘서트 등의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 기간은 3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며, 사용기한은 발급일로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이다. 다만,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발급받은 후 6월 말까지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이용자는 지원금을 환수하고 2차 발급을 통해 더욱 많은 청년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 사진=문체부 제공


국립극단 등 11개 국립 예술단체와 공연시설들은 ‘청년 문화예술패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관람권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할인 혜택이 적용되는 주요 공연을 살펴보면, △국립극단의 ‘만선(3월 6일~30일)’, ‘그의 어머니(4월 2일~19일)’,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베르디, 레퀴엠(3월 9일)’,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6월 13일)’, △국립중앙극장의 ‘보허자:허공을 걷는 자(3월 13일∼20일)’, ‘정오의 음악회(3월 20일)’, △국립현대무용단의 ‘인잇:보이지 않는 것(3월 21일∼23일)’ 등이 있다. 

아울러 지역의 공연시설들도 다양한 할인 혜택으로 ‘청년 문화예술패스’ 이용자를 기다린다. 주요 할인 공연은 △대전예술의전당의 ‘아침을 여는 클래식(3월 11일)’, △경기아트센터의 서가콘서트 '데미안'(3월 15일), 마스터즈 시리즈 '투쟁, 극복, 환희(4월 19일), △강원문화재단의 ‘강원의 사계 봄 양인모&조나단 웨어(3월 19일), △경기 광주시문화재단의 ‘제4회 연극페스티벌(3월 28일∼4월 19일)’, △하남문화재단의 대니 구 '프리마베라(Primavera'>(3월 29일)’,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의 콘서트오페라 '아모오페라(Amopera)'(4월 26일∼27일) 등이 있다. 

관람권 할인율은 공연마다 다르며, 할인 공연 혜택은 계속 추가해 나갈 예정이다. 참여 기관과 공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3월 중순 이후부터 공식 누리집과 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올해도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통해 더욱 많은 청년들이 우리 문화예술 현장에 함께하기를 기대한다”며, “문체부는 앞으로도 청년들이 문화예술로 더욱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즐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 밝혔다.

[미디어펜=이석원 문화미디어 전문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