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성준 기자]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중견 건설사들의 재무에 빨간 불이 들어오고 있다.
대내외 악재가 해소되지 않은 데다 앞으로도 돌파구가 쉽게 보이지 않으면서 정부의 실효성있는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
 |
|
▲ 부산의 한 건설 현장./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법원에 회생 절차를 신청한 '국내 건설업 면허 1호' 삼부토건의 부채비율은 838%였다. 이밖에 △태영건설(748%) △이수건설(817%) △대방산업개발(513%) △HJ중공업(498%) △시티건설(406%) 등이 부채 비율 400%를 넘겼다.
이밖에 △동원건설산업 344% △대보건설 280% △서해종합건설(연결) 275% △극동건설(연결) 240% △일성건설(연결) 225% △남광토건(연결) 210% △디에스종합건설(연결) 209% △서한(연결) 205% 등은 부채비율 200%를 웃돌았다.
통상 업계에서는 부채비율 200%를 넘으면 재무 건전성에 주의가 필요하며, 400%를 넘기면 향후 부실 현실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최근 중견 건설사들의 대규모 부실 우려는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주택 사업 불황, 이로 인한 자금 경색 등이 원인이다.
대내외적으로도 호재를 찾기 어렵다. 미국발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이 리스크 요인으로 상존하며, 국내 정치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으로 혼란스럽다.
문제는 이들 중견 건설사들이 지난해부터 심화된 주택 경기 불황 속에서도 재무 안정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해왔다는 것이다.
상당수 중견 건설사들은 지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별수주 전략을 펼쳤고, 이 마저도 하지 않고 관급공사나 소형 사업 위주로 재무 안정화에 힘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에 지은 아파트들이 무더기 미분양되며 수익성에 타격을 받으며 재무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총 7만173가구로 전년 6만5146가구 대비 5027가구(7.7%) 늘었다. 수도권은 1만6997가구로 한달 전보다 17.3%, 지방은 5만3176가구로 5.0% 늘었다.
무엇보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이 2만1480가구로 2014년 1월 2만566가구 이후 약 11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 들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중견 건설사들의 주력 사업인 지방 주택사업이 심각한 불황에 빠지면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지방 악성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기로 결정했지만 전체 지방 악성 미분양 물량의 약 17%에 불과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한편 LH는 수도권에서도 매입임대 사업을 진행 중이다. LH는 매입임대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수도권 매입임대사업처를 신설했으며 담당 인력을 228명에서 252명으로 늘렸다.
업계에서는 매입임대와 같은 간접적 정책 외에 내집마련 수요자들에게 직접 혜택이 돌아가는 금융·세제 혜택을 요청하고 있다.
최근 국토부의 대책을 보면 수요자들의 숨통을 트여줄 수 있는 3단계 스트레스DSR의 한시적 금리 인하, 양도세 등 부동산 취득관련 세제혜택 등이 모두 빠져 시장을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결국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실수자에게 혜택이 가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전체 경제와 연동된 건설 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보다 실효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성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