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제81기 주주총회 개최…이사 보수 한도 175억으로 증액
사업목적에 ;부동산 개발업' 추가…EV 대중화·PBV 사업화 박차
[미디어펜=김연지 기자]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올해부터 기아에서 보수를 받는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대표이사로 재선임 됐다.

기아는 14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제81기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정의선 회장과 송호성 사장의 사내이사 재선임 △이사 보수 한도 증액 △정관 변경 등의 안건을 의결했다.

이번 주총에서 이사 보수 한도는 기존 80억 원에서 175억 원으로 대폭 상향됐다. 이는 올해부터 정 회장이 기아에서 보수를 받게 되면서 이를 반영한 조치다. 정 회장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서만 보수를 받아왔으며, 기아에서는 등기임원을 맡고 있음에도 지난해까지 보수를 수령하지 않았다.

2020년부터 기아를 이끌어온 송 사장은 지난해 기아의 사상 최대 실적을 견인하며 연 매출 100조 원 돌파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에 따라 3년 임기로 재선임돼, 기아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 송호성 기아 사장이 14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진행된 제81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개회선언을 하고 있다./사진=기아 제공


이날 주총에서는 김승준 기아 전무가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됐다. 김 전무는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로 이동한 주우정 전 부사장의 후임이다. 신현정 KAIST 교수도 사외이사로 재선임됐다.

기아는 이번 주총에서 정관 일부 변경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사업목적에 '부동산 개발업'이 추가됐다. 기아는 플래그십 스토어 신축을 위한 사전 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기아는 지난해 인증 중고차 사업 진출을 위해 정관 변경을 단행하며 '금융상품판매대리·중개업'을 추가한 바 있다. 이번 정관 변경 역시 새로운 사업 확대를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송 사장은 주주총회에서 전기차(EV) 대중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사업화, 소프트웨어(SW) 중심 전환을 올해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그는 "기아는 전동화 전략의 다음 단계로 본격적인 EV 전환을 가능케 할 대중화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라며 "2024년 EV3를 시작으로 EV4, EV5, EV2를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출시해 대중화 모델 풀라인업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EV2에서 EV5에 이르는 대중화 모델 풀라인업은 내연기관 차량과 총소유비용(TCO) 측면에서 대등한 수준을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PBV 사업과 픽업트럭 등의 신사업 확장도 본격화된다. 송 사장은 "올해 기아가 첫 PBV 모델 출시를 앞두고 있다"며 "맞춤형 차량 제작사업인 특수차량 사업에서 축적한 40년 이상의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이지스왑, 컨버전 생태계 구축, 유틸리티별 트림 출시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SW 중심 전환도 핵심 과제다. 송 사장은 "내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는 기아의 차세대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는 전기전자 아키텍처와 차량 OS 기반 위에 자율주행, 커넥티비티를 결합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통합된 차량으로 선보이고, 양산할 예정"이라고 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