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비상 상황 발생시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 관리 대상에서 석유를 제외하는 대신 열을 추가하고, 전력분야 위기 관리를 수급·계통으로 세분화하는 등 13년 만에 계획을 손질했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부는 14일 제35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비상시 에너지수급계획'과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 등 3개 안건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석유, 가스, 전기 등 에너지 수급 차질 등 비상 상황 발생시 국가 차원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에너지법에 따라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을 수립해 대비해 왔다. 최근 전기화 및 열 사용 확대 등 에너지믹스 변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 심화, 이상기후 상시화로 에너지 수급 환경이 크게 변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13년 만에 다양한 시나리오별 비상 조치사항을 매뉴얼화했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석탄 수요 감소와 열 수요 증가 등 에너지믹스 변화에 대응해 관리 대상을 기존 전력‧원유‧가스‧석탄에서 전력‧원유‧가스‧열로 개편했다. 재생에너지 증가로 전력계통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전력분야 위기 관리를 수급에서 수급‧계통으로 세분화했다.
또 개별에너지 원별 대응 체계와 동시에 2개 이상 에너지원 수급 재난 발생시 상황 심각성에 따라 '에너지 종합 비상수급대책본부' 또는 '에너지 종합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해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
산업부는 이날 위원회에서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도 심의했다. 가스는 취사·난방용에서 산업·발전용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가연성과 폭발성 등으로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정부는 2015년부터 5년마다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제3차 계획에서는 수소경제 성장에 대비해 수소 신기술 안전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도록 했다. 노후 가스시설이 증가한 점을 고려해 IT 기술을 적극 활용해 디지털 기반 상시 안전관리 체계로 전환하고, 민간 자율 안전관리를 강화하도록 혁신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최근 데이터센터와 같은 전력 다소비 시설이 확산되는 등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고, 전기사고 발생시 피해 규모가 복잡화, 대형화 되는 추세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전기재해로부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마련됐다. 다중이용시설과 산업단지, 사회적배려층 등 전기안전 취약 분야에 대한 맞춤형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게 골자다. 산업부는 현장 중심의 유연한 전기안전관리,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기술 혁신을 추진하고, 민간주도의 전기안전 기반 조성을 통해 전기안전산업 육성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13년 만에 정비한 비상시 에너지수급계획은 에너지 수급 비상상황에 대한 컨틴전시 플랜으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으로 국민경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며 "수소경제 성장과 첨단산업 전기 수요 증가 등 가스‧전기 분야의 여건 변화에 맞게 안전관리 체계를 지속 혁신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