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청년층 인구 감소와 고령층 비중 확대 등 노동 공급 제약 영향으로 오는 2029년부터 취업자 감소세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2033년까지 82만1000명의 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
 |
|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23~2033년)./사진=고용정보원 |
17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23~2033년)'에 따르면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2023년부터 2033년까지 24만8000명 증가하지만, 2030년부터 감소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 10년간(2013~2023년) 증가 폭인 309만5000명의 10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162만7000명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은 187만5000명 늘어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8.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 전망치였던 12.4%에서 6% 이상 증가한 수치다. 다만 고령화 심화로 2030년부터는 장년층(55~69세)도 감소할 것으로 고용정보원은 예상했다.
경제활동참가 성향이 낮은 65세 이상 인구 증가 등으로 15세 이상 경제활동 참가율은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봤으나, 15∼64세 경제활동 참가율은 고학력화와 여성 참여 확대 등으로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청년층의 경우 2033년 49.8%로 상승하고, 중년·장년·고령층 경제활동 참가율 또한 모두 지속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취업자 전망은 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세 이상 취업자는 2023년부터 2033년까지 31만2000명 수준으로 증가하지만, 인력공급 제약으로 전망 후기(2028~2033년)에 감소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2023년 62.6%에서 2033년 61.7%로 0.9%p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별로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사회복지와 보건업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고,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 영향으로 출판업(소프트웨어개발 등)에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온라인화·플랫폼화 등 산업 구조 전환 영향으로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은 감소할 것으로 봤다.
직업별로는 고령화 영향으로 돌봄, 보건 및 개인서비스직과 보건·사회복지직에서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디지털 전환 등 기술혁신 영향으로 공학전문가, 정보통신전문가 등도 증가할 것으로 관측했다. 매장 판매직의 경우 자동화와 온라인화로 인해 큰 폭으로 감소하고,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농축산 숙련직과 교육 전문가 등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
 |
|
▲ 2023~2033년 취업자 수 및 추가 필요 인력 전망(천 명)./사진=고용정보원 |
노동 공급 제약은 향후 고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고용정보원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를 막고, 향후 10년 동안 지속적인 경제성장(1.9%)을 위해 2033년까지 노동시장에 추가 유입돼야 할 필요 인력 규모를 82만1000명으로 추산했다. 이는 전체 취업자 수 전망치의 약 2.9% 수준의 노동력이 추가로 필요함을 의미한다.
2033년 추가 필요 인력(82만1000명)은 제조업(12만3000명)에서 가장 많고, 보건복지서비스업(11만 명), 도소매업(8만3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고용정보원은 향후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인력공급 및 수요 감소는 전망 전기(2023~2028년)보다 전망 후기(2028~2033년)에 본격화되는 만큼 선제적 준비가 요구되고, 인력 수요 변화가 분야별로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업종·직종별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창수 원장은 "향후 인력 부족 등이 초래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해 나가기 위한 고용노동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작년에 이어 추가 필요 인력 규모를 전망하고 단기(1년) 전망을 신설하는 등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그 과정에서 인공지능(AI) 등 기술 변화와 자동화 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고려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