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부 산하 연구소 직원이 한국으로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 유출하려다 적발돼 해고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로 보안 문제를 거론한 가운데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도급업체 직원이 한국으로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유출하려다 적발된 사실이 확인됐다.

1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미국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의 도급업체 직원(contractor employee)이 수출통제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소지하고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려고 했다가 적발돼 해고된 사건이 있었다.

사건의 정확한 발생 시점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2023년 10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17일(현지시간)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미국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의 도급업체 직원이 수출통제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소지한 채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려고 했다가 적발돼 해고된 사건이 발생했다. 사진은 미국 에너지부 감사관실 보고서. 2025.3.18./사진=연합뉴스 [에너지부 감사관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직원이 한국으로 가져가려고 한 정보는 INL이 소유한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로 특허 정보에 해당한다고 감사관실은 설명했다.

감사관실은 직원의 정부 이메일과 메신저 기록을 조사한 결과 이 직원이 해당 정보가 수출통제 대상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직원과 외국정부간 소통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사안은 보고서 제출 당시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국이 수사를 진행했다고 한다.

앞서 외교부는 전날 "미측을 접촉한 결과, 미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 최하위 단계에 포함시킨 것은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한 바 있다. 

   
▲ 17일(현지시간)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미국 의회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의 도급업체 직원이 수출통제 대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소지한 채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려고 했다가 적발돼 해고된 사건이 발생했다. 사진은 미국 에너지부 감사관실 보고서. 2025.3.18./사진=연합뉴스 [에너지부 감사관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