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대우건설 컨소시엄은 29일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을 시작한다. 분양가상한제(분상제)가 적용되고 에코델타시티 내 최대규모 대단지라 주목을 받고 있다.
|
 |
|
▲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 투시도./사진=대우건설 |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들어서는 해당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4층, 13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1370가구 대단지로 조성된다. 분양 물량을 전용면적 타입별로 살펴보면 △59㎡A 133가구 △59㎡B 95가구 △59㎡C 272가구 △59㎡D 234가구 △59㎡E 112가구 △84㎡A 41가구 △84㎡B 302가구 △84㎡C 181가구로 구성된다.
분상제 덕분에 3.3㎡당 평균 분양가는 1605만 원이며, 계약금 5% 중 1차 계약금 500만 원 정액제를 적용해 수요자들의 자금 부담을 덜었다. 입주는 2028년 9월 예정이다. 청약은 오는 9월 1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일 1순위, 3일 2순위 청약접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당첨자 발표는 9월 10일에 이루어진다.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는 서부산권의 신흥 주거지로 부상하는 부산 에코델타시티에 조성된다.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향후 전체 사업이 완료되면 인구 약 7만6000명과 주택 약 3만 가구를 수용할 수 있다. 인접한 명지국제신도시, 녹산국가산업단지, 부산신항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해 풍부한 일자리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단지와 가까워 직주근접 생활이 가능하다. 김해국제공항과 부산신항, 향후 가덕도신공항(예정)까지 더해지면 산업·물류 중심지로서의 입지는 더 탄탄해질 것으로 보인다.
단지 인근에는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서부산IC, 명지IC 등이 가까워 부산 도심은 물론 김해, 창원 등 인근 지역으로의 이동이 수월하다. 또한 2028년 개통 예정인 부전~마산 복선전철 노선에는 ‘에코델타시티역’ 신설이 계획돼 있어 교통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예정이다. 이 밖에 대저대교, 엄궁대교가 개통되면 부산 전 지역으로 이동이 편리해질 전망이다.
단지 바로 앞에 중학교 예정 부지가 있다. 도보권 내 유치원과 초·고교 예정 부지도 위치해 있어 자녀들의 안전한 통학이 가능하다. 인근에는 중심상업지구와 대형 수변공원, 의료시설, 다양한 문화·편의시설이 함께 들어설 예정이며, 2027년에는 백화점과 프리미엄 아울렛, 쇼핑몰이 결합된 형태의 이른바 ‘더 현대 부산’도 개점할 예정이어서 생활 인프라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특히 에코델타시티의 경우 전체 면적의 30%가 스마트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인 만큼 쾌적한 주거 환경을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는 부산 에코델타시티 내 1군 브랜드 대단지로 조성되는 만큼 상징성과 희소성을 모두 갖췄다는 평가다. 특히 앞서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센터파크’와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린’이 각각 1순위 평균 42.03대 1, 12.11대 1의 경쟁률로 성황리에 분양한 만큼 에코델타시티에서 세 번째 분양에 나선 ‘푸르지오’ 브랜드 단지에 많은 관심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단지는 택지지구 내 공급물량이 적었던 전용면적 59㎡ 소형 평형 비중이 높아 신혼부부나 1~2인 가구에게 높은 호응을 얻을 전망이다. 모든 가구가 남향 위주로 배치돼 채광이 우수하며, 주택형 별로 팬트리, 알파룸, 드레스룸 등 다양한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59㎡A, B, C타입은 4Bay 판상형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59㎡E타입의 경우 2개의 팬트리가 마련돼 수납공간이 넉넉하다. 84㎡A타입은 4Bay 판상형 구조로 설계되며, B타입은 팬트리 2개, C타입은 현관 창고, 펜트리와 알파룸이 모두 마련되는 등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단지 규모에 걸맞은 대규모 커뮤니티 시설도 조성된다. 독서실, 골프클럽, 그리너리 카페, 초등학생들의 방과 후 돌봄을 지원하는 다함께돌봄센터, 시니어클럽, G.X룸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이 들어서 입주민들의 편의를 높일 예정이다.
대우건설 분양 관계자는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는 1370가구 ‘푸르지오’ 브랜드 대단지로, 희소성 높은 소형 평형에 우수한 상품성을 갖춘 것이 강점”이라며 “분상제로 인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되며, 풍부한 인프라와 국가시범 스마트시티라는 미래가치까지 더해져 실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