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희연 기자]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3일 국회에서 열렸으나 후보자를 지키려는 여당과 끌어내리려는 야당 사이의 팽팽한 기싸움이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원 후보의 전문성을 내세우며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윤미향 전 의원 증인 채택 문제와 '피해 호소인' 용어 사용 논란 등 과거 행적을 문제 삼으며 공세를 폈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야당 간사인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인사청문회는 고위공직자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국회가 사전 검증해 부적격자를 걸러내기 위한 절차"라며 "위안부 피해자 권익 보호를 책임지는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인데도 저희가 요청한 윤미향 전 의원과 이용수 인권운동가 등 핵심 증인·참고인 채택을 민주당이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채현일 민주당 의원은 "증인과 참고인을 부르려면 '후보자 정책 역량과 도덕성 검증'이라는 청문회 목적에 부합해야 하고 여야 합의도 필요하다"며 "그런데 윤 전 의원의 경우 후보자 검증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대통령 사면, 보조금 횡령 등이 궁금하면 직접 후보자에게 질문하면 되지 않나"라고 반박했다.
|
 |
|
▲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3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답변 자료를 보고 있다. 2025.9.3./사진=연합뉴스 |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당시 민주당 인사들이 사용해 논란이 됐던 '피해 호소인' 표현을 묵인한 것을 두고도 국민의힘 측의 질타가 이어졌다. 원 후보자는 당시 민주당 윤리심판위원이었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여권 인사들이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에서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이라고 언급한데 대해 "피해자 중심 용어라고 보느냐. 가해자 중심 용어라고 보느냐"며 "피해자를 피해자로 부르지 않는 것 자체가 사실 명백한 2차 가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원 후보는 "피해자에 대해서는 피해자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윤리심판원은 규정에 따라 운영되는 조직이다. 해당 부분은 윤리심판원에 제소된 바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 2023년 '고(故) 채 상병 사건'을 수사한 박정훈 대령에 대한 긴급구제가 기각된 데 대한 문제 제기도 있었다. 원 후보는 당시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군인권보호위원회 소속이었다.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은 원 후보자에게 "긴급구제권 기각에 책임을 져야 한다"며 "김용원 군인권보호위원장처럼 특검 수사 대상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원 후보는 "긴급성 요건에 대한 결여 때문이었다"며 "그 부분은 박 대령과 유족들께 너무나 죄송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그 사건은 절대 기각돼선 안 되는 사건"이라고 답했다.
이연희 민주당 의원은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들 사이에서 원 후보가 전문성을 가진 적임자라는 평가가 많다"며 "여가부가 윤석열 정부에서 많이 축소되고 위축돼 국민들의 걱정이 많았는데 훌륭하게 역할을 해주고 성과를 내주기를 바란다"며 원 후보가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이에 원 후보는 "이재명 대통령께서 최근 양성평등주간 메시지를 냈다"며 "대통령의 소망, 우리의 소망이 실현되는 첫걸음이 여가부가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성평등가족부는 성평등정책 총괄 조정 핵심부서로 역할해야 한다"고 답했다.
[미디어펜=이희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