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최근 복수의 도시정비사업 조합에서 조합장을 비롯한 집행부 해임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시공사 선정이나 조합 운영 등에 관해 갈등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조합원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
 |
|
▲ 서울의 한 재개발 사업지에서 철거가 진행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서동영 기자 |
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성수1지구)에서는 일부 조합원이 조합장 해임 발의를 추진하려는 움직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조합장이 편파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성수1지구의 경우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사 선정 입찰에 불참할 가능성이 커졌다. 두 회사는 조합에 공문을 보내 조합이 과도한 입찰지침으로 경쟁사간 변별력 확보가 불가능해졌다며 이를 완화해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지난 4일 열린 조합 대의원회 결과 입찰지침 완화는 부결됐다.
이로 인해 경쟁수주는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조합장 해임을 추진하려는 조합원들은 두 회사의 입찰 불참은 결국 조합장이 특정 건설사와 유착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성수1지구 재개발은 지하 4층~지상 최고 69층, 17개 동, 3014가구를 조성하는 대형 재개발 사업으로 성수전략정비구역 중 가장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조합 내분으로 사업 진행 여부마저 불투명하다는 우려다.
서울 강남구 개포우성4차 재건축에서는 일부 조합원이 조합장 등 조합 집행부에 대한 해임 총회 개최를 위해 조합원들로부터 동의서를 받고 있다. 이들은 경쟁수주 무산과 가능성과 더불어 조합장이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서에 특별한 마감자재를 지정해 입찰을 진행했다고 주장한다. 조합은 이달 예정됐던 입찰을 취소하고 오는 12월경 다시 시공사 선정에 나설 계획이다. 조합장은 대형건설사 참여를 약속하며 조합원들의 불만을 잠재우고 있다.
실제로 최근 조합장이 물러난 사업장도 있다. 서울 장위14구역 재개발, 서울 방배신삼호 재건축, 인천 미추1구역 재개발 등이다.
정비사업에 있어서 조합장 해임은 드문 일은 아니지만 문제는 이로 인해 조합원간 갈등의 골이 깊어진다는 점이다. 또한 사업을 총괄 진행해야 할 조합장 부재로 사업 진행이 멈춰질 수 있다.
이같은 갈등은 결국 상당수 조합원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시간과 속도가 생명인 정비사업에서 조합 내부 다툼은 치명적"이라며 "사업이 지연될수록 공사비와 금융비용 등이 올라 조합원들의 분담금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아예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비사업 조합 운영과 관련한 법적 규정 재정비, 외부 전문가 또는 관할 지자체의 개입 및 감독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워낙 이권 다툼과 사안이 첨예한 만큼 어떤 대안을 내놓든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