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2차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매입 나서
건설업계 의견 반영…감정가 상향 대상 확대
[미디어펜=서동영 기자]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방에서 공급되는 아파트들이 준공을 했음에도 팔리지 못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계속해서 증가 중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매입에 나서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건설업계의 의견을 받아들여 매입가를 올리고 대상도 더 넓히는 등 조건을 완화하면서 심각한 지방 악성 미분양 해결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 LH가 지방에 자리한 악성 미분양 아파트 매입 조건을 완화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LH가 오는 16일 LH 경기남부지역본부에서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 설명회'를 개최한다. 건설사, 시행사,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이번 설명회는 지난달 29일 발표한 '2차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공고'와 관련한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됐다.

악성 미분양이라고도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아파트를 다 짓고도 팔리지 않는 것을 말한다. 부동산 경기 침체의 심각성을 파악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057가구로 전월 대비 1.3%(341가구) 증가했다. 이 중에서 지방은 2만2589가구로 전체 악성 미분양의 83.5%를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방 건설사들이 잇달아 부도를 내면서 고용 악화 등 지방의 경제 사정은 더 악화되고 있다. 이에 LH가 지방 미분양 해결을 위한 정부의 의지에 따라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에 나선 것이다. 

LH는 정부 정책에 따라 올해 3000가구, 내년 5000가구 등 총 8000가구에 달하는 지방 준공 후 미분양을 사들일 계획이다. 해당 아파트는 분양전환형 임대를 통해 주택 수요자에게 공급된다. 입주자는 시세 대비 90% 수준 전세로 6년간 거주할 수 있고 분양을 원치 않을 경우 추가 2년 연장도 가능하다. 또한 저렴한 조건으로 분양 받을 기회도 얻는다. 

LH는 올해 초 건설사로부터 신청을 받아 첫 번째 매입에 나선 바 있다. 현재 해당 아파트들은 매입가를 결정하기 위해 감정평가를 진행하고 있는 단계다. 다만 건설업계에서는 매입가격이 너무 낮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매입 상한가로 정한 감정평가액 83%는 실제 분양가의 70%에 불과해 해당 기준으로 LH에 팔면 손해라는 것이다. 때문에 차라리 할인 분양으로 파는 게 낫다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LH는 업계 의견을 반영해 매입 상한가와 매입 대상 범위도 확대했다. 감정평가액을 90%까지 올렸으며, 시공사가 받지 못한 공사비를 대신해 대물변제로 갖고 있는 아파트도 사들이겠다고 결정한 것이다. 

LH는 1차보다 훨씬 더 조건이 좋아진 만큼 건설사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것으로 보고 있다. LH 관계자는 "요구했던 부분이 이번에 반영됐기에 업계에서도 호응을 해주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밝혔다. LH가 사들일 8000가구는 지방 내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중 약 35%를 차지한다.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지방 미분양을 완벽히 해결할 수는 없어도 해결을 위한 마중물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더 적극적인 방안을 바라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LH 매입도 좋지만 다주택자 규제를 풀어줘야 지방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며 다주택자에 대한 세제 혜택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