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 신고가 다시 이어지면서 방역 당국이 초비상 상태에 돌입했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일 경기 김포(메추리)와 화성(산란계) 농가가 AI 의심 사례를 신고했다고 밝혔다.
|
 |
|
▲ 제주시 관계자들이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철새도래지에서 긴급 AI 차단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 |
AI 신규 의심 신고가 접수된 것은 지난 14일 이후 6일만이다. 지난 15~19일에는 의심 신고가 한 건도 들어오지 않았다가 설 연휴를 앞두고 다시 신고가 접수된 것.
특히 이번에 의심 사례가 나타난 김포의 경우 경기도 내 다른 지역에 비해 지금까지 피해가 적은 편이었기 때문에 더욱 큰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AI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최장 10일이기 때문에 앞으로 1~2주가 이번 AI 사태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당국은 설 연휴를 앞둔 오는 25일 군 제독 차량과 농협 공동방제단을 활용해 철새 도래지 인근과 축사 주변, 도계장 등 축사시설에 일제 소독을 실시할 계획이다.
농장주와 일반 국민에는 농장과 철새 도래지 방문을 자제하는 한편 축산 농장 모임을 삼가고 택배차도 축사에 출입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내렸다.
또한 폭설에 따른 안전 조치도 강화하는 한편 김포의 메추리 농가에서 AI 의심사례가 발생한 만큼 메추리 농가에 대한 방역조치도 강화할 계획이다.
작년 11월 16일 최초 의심 신고가 접수된 이후 현재까지 AI 발생 농장 수는 모두 334호에 이른다. 야생 조류 시료 42건(H5N6혈 40건, H5N8형 2건)에서도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살처분 마릿수는 약 3271만 마리이며, 축종별 살처분 규모는 닭이 2730만 마리(전체 사육대비 17.6%), 오리 245만 마리(사육대비 28%), 메추리 등 기타 가금류가 296만 마리(사육대비 19.7%) 등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