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한중 양국이 31일 각 분야의 조속한 교류 정상화 등 관계를 회복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지만, 지난 1년간 이어져온 중국의 무차별적인 경제보복 피해는 고스란히 민간의 몫으로 남을 전망이다.
양국 정치지도자들이 한중 해빙 모드에 들어갔어도 우리나라 기업들이 이미 입은 피해는 수십 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KDB산업은행은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경제손실 규모를 22조4000억 원이라고 추산했고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직접 손실액 18조1000억 원, 직간접적 생산유발 손실액 34조원, 부가가치유발 손실액 15조1000억 원 등 67조20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현대경제연구원은 손실액 계산과 별개로 취업유발 손실 규모가 국내취업자 40.2만명에 달하며 799만 명 중국인 관광객이 감소했다고 추정했다.
코리 가드너 미 상원 외교위 동아태소위원장(공화·콜로라도)은 중국의 사드 보복과 관련해 지난달 19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실제로 한국 내 사드 배치에 대해 보복 작전을 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경제에 90억 달러의 비용을 들게 했다"고 지적했다.
중국으로부터 집중적인 보복을 당한 사례는 롯데마트다. 작년 11월부터 중국 롯데마트의 모든 사업장에 세무조사를 실시하고 소방위생 점검에 나서 벌금을 부과했던 중국 정부는 지난 3월부터 마트매장에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기 시작했다.
일부 시민단체에 떠밀려 정부가 성주 사드 부지를 롯데가 소유한 골프장으로 바꾸기로 결정하면서 촉발된 사태다.
|
 |
|
▲ 한국과 중국은 10월31일 각 분야의 조속한 교류 정상화 등 양국 관계를 회복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사진은 7월6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웃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
중국의 보복에 총 112곳 중 87곳이 문을 닫고 나머지 매장의 매출도 80% 이상 감소하는 등 정상적인 영업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롯데는 결국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사례는 롯데만이 아니다. 아모레퍼시픽과 오리온, 현대자동차 등 중국시장에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급감한 회사가 한두곳이 아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이 장기화되자 이마트도 중국시장 철수를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외교부 고위인사의 협박성 발언이 여론에 회자되어 올해 초 국민 여론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작년 연말 방한했던 천하이 중국 외교부 부국장은 삼성과 롯데 등 기업인들을 만난 자리에서 "소국이 대국에 대항해서 되겠냐"며 "너희 정부가 사드 배치를 하면 단교 수준으로 엄청난 고통을 주겠다"고 말해 큰 논란을 빚었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한국을 여행금지국가로 지정해 중국인들의 한국행 단체여행을 전면 금지시키기도 했다.
최근 이어진 외교당국간의 소통을 통해 양국이 관계 회복에 나섰지만 중국의 협박성 발언과 경제 보복의 상처는 고스란히 남게 됐다.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키겠다는 한중 양국의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