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유진 기자] 은행권이 동산담보대출 활성화에 나서고 있지만 사물인터넷(IoT) 시스템 구축까진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외부 업체를 통해 관련 인프라 구축 시 관리비 부담과 데이터 활용에 제약이 커 직접 구축에 나선 곳도 있는 반면, 일부는 담보물의 평가와 관리에 우려가 있어 대출 활성화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동산담보대출 상품에 IoT 시스템을 도입한 곳은 IBK기업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등이다. 동산담보대출이란 공장의 기계나 지식재산권(IP), 재고 자산 등을 담보로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상품이다.

기존에 은행권은 동산담보대출 실행에 소극적인 행보를 보여왔는데 부동산 담보와 달리 담보의 이동이나 훼손, 가치 평가가 어려운 한계가 존재했다.

금융당국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 은행에 내년까지 IoT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주문했다. 담보물에 IoT 원격관리 단말기 부착해 움직임 등을 실시간으로 살펴보고 이상징후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5월 23일 경기도 시흥시 한국기계거래소에서 동산금융 활성화 전략을 발표한 뒤 IoT 센서 담보물 부착 시연에 나선 모습/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정부의 주문에 따라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은 일찌감치 IoT 전용 동산담보대출을 선보였는데 일부 은행은 아직까지도 관리 구축을 완료하지 못하고 있다.

A은행 관계자는 "담보물에 대한 데이터를 시스템 개발 업체가 가지고 있다보니 은행들마다 월 이용료를 지불하면서 정보조회를 하고 있다"며 "대출이 커질 수록 그 비용이 점차 늘어나고 계약 중단 시 데이터에 대한 열람권 제한이 있어 직접 시스템 구축에 나선 상태다"고 말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IoT나 빅데이터 등의 신기술 활용 시 기존에 경비업체를 고용해 수시로 현장점검을 나가던 방식보다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제시했다. 하지만 실제론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또 은행권은 담보물도 고객정보 중 하나인데 은행이 아닌 외부 클라이드에 이를 담아 보관한다는 점에서 고객정보보호 우려도 제기됐다. 일부 은행의 경우 IoT 시스템을 도입하고도 여전히 담보물 관리·회수 면에서 불안감이 높아 선뜻 대출을 늘리지 못하겠다고 전했다.

C은행 관계자는 "IoT 시스템 구축 이후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더라도 증가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게 내부 입장이다"며 "부동산 담보에 비해 보관과 관리 처분이 쉽지 않다는 점은 여전히 걱정이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말까지 동산담보대출을 8000억원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인데 기업은행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IBK기업은행의 경우 올해 5월 '스마트 동산담보대출'을 출시한 이후 10월까지 474억원의 대출을 실행했다. 건수로는 325건이다.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