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강에서 한국인 관광객 33명을 태운 유람선 허블레아니호 침몰사고가 발생한지 닷새째인 2일(이하 현지시간) 수색작업은 여전히 더디게 진행되는 모습이다.
우리 정부가 급파한 합동신속대응팀은 헝가리 측의 협조로 지난 1일 유람선 침몰지점으로부터 하류 50㎞ 지점까지 보트 4척과 헬기까지 동원해 실종자들을 찾기 위한 집중 수색을 벌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
 |
|
▲ 강경화 외교부 장관(사진 오른쪽)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강 머르기트섬에 위치한 한국-헝가리 합동 대책본부를 찾아 신속대응팀 대원들을 격려한 뒤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는 다뉴브강의 수위가 아직 높고 물살이 상당히 거세기 때문이다. 한국과 헝가리 양국은 수중수색의 위험부담이 매우 크다고 판단하고 오는 3일 아침 협의를 거쳐 잠수부 투입 재개를 다시 결정하기로 했다.
그때까지 양국 구조수색팀은 헬기와 고속단정 등을 이용한 공동 수상 수색작업을 진행한다.
대한민국 해군 해난구조대(SSU), 소방청 국제구조대, 해경 등으로 구성돼 헝가리에 급파된 합동수색구조팀은 지난달 31일 현장에 도착해 다뉴브강 중간의 머르기트 섬에 지휘본부를 꾸렸다.
지난 1일부터 본격적으로 헝가리 당국과 공동수색을 전개했지만, 사고지점 다뉴브 강물의 유속 측정 결과 5∼6㎞/h로 매우 빠르고 수중 시계가 전혀 확보되지 않아 잠수부 투입이나 드론 투입은 할 수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잠수요원 투입을 통한 선체 수색 역시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헝가리 양국은 이번 주말을 보낸 뒤 오는 3일 아침 무렵이 되면 다뉴브강의 수위가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시기에 잠수요원 투입 등 수중수색 가능성을 다시 고려할 예정이다.
한편 수중수색 작업과 별도로 우리 정부는 허블레아니호와 추돌하는 사고를 낸 크루즈선 '바이킹 시긴' 호에 대한 헝가리 측의 사법절차 진행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출신 '유리.C'라는 이름의 바이킹 시긴 호 선장은 사고 직후 헝가리 경찰에 구금돼 조사를 받았다. 현재는 그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된 상태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다뉴브강에서는 지난달 29일 한국인 33명과 헝가리인 2명을 태운 유람선 허블레아니호가 대형 크루즈선 바이킹 시긴 호에 부딪혀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한국인 7명이 숨졌고 7명이 구조됐으며 나머지 한국인 19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