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 맥스터 7기 추가건설 보류
월성원자력본부 포화율 91.8%…타 본부 압도
   
▲ 신월성 1·2호기 전경/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 22일 열린 제111회 회의에서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건식저장시설(맥스터) 7기 추가건설을 보류하면서 월성원전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선 '월성 1~4호기 운영변경허가안'이 심의·의결 안건으로 다뤄졌으나, 용어 정리 및 추가적인 배경 설명이 필요하다는 위원들의 판단에 따라 추후 회의에 재상정되는 것으로 결정됐다.

업계는 맥스터 건설에 19개월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며, 포화예상시점을 고려하면 늦어도 내년 2월에는 첫 삽을 떠야한다는 점에서 월성본부의 운명이 '백척간두'의 지경에 놓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올 3분기 기준 국내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용량은 52만8245다발로, 이 중 47만9980다발(90.8%)이 채워진 상황이다.

이 중 가장 많은 용량을 차지하는 월성원자력본부 내 맥스터의 경우 저장용량(33만다발)의 96.5%의 수용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2분기 대비 0.5% 늘어난 것으로, 현재 추세로는 2021년 3분기 중으로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월성본부 전체로 보면 수용비율이 91.8%로, △고리(78.1%) △새울(0.06%) △한빛(71.4%) △한울(80.2%) 등 타본부를 상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최연혜 자유한국당 의원이 원자력국민연대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월성1호기 강제폐기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한국은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을 마련하지 못하면 원전의 가동을 멈춰야 한다. 이를 건설하기 위해 정부가 30여년간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리장 건축을 시도했으나, 아직 구축되지 않아 사용후핵연료를 원전 내에 보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 내에서 3~5년 가량 쓰인 뒤 배출되는 고준위방폐물로, 우라늄·플루토늄·세슘·스트론튬을 비롯한 방사성 물질이 포함됐다. 다량의 방사선과 고온의 열 등도 방출한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주민수용성 등을 이유로 관련 시설 구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원전 가동 중단으로 인한 전력공급 차질 및 지역경제 저해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원안위는 월성1호기 영구정지에 대한 결론도 내리지 못했다. 감사원 조사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일부 위원의 반발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앞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지난 9월 월성1호기를 조기폐쇄하기로 한 한수원 결정에 문제가 있다며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한 바 있다.

폐쇄를 찬성하는 측은 이 원전의 경제성이 부족하며,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조사 결과를 근거로 원전 가동 중단시 안전성에도 큰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원자력이용시설 운영 및 건설변경허가안' 및 '방사선 안전관리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은 심의·의결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