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북한이 9일 남북 접경 지역에 설치된 대남 소음 방송용 확성기를 철거하는 모습이 우리 군에 포착됐다. 군 당국이 전방 대북 확성기를 전면 철거한 지 불과 나흘 만이어서 북한이 이에 호응한 조치라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온다.
|
 |
|
▲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 임진강변 초소에 대남 확성기./사진=연합뉴스 |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군이 오전부터 전방 일부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는 활동이 식별됐다”며 “전 지역 철거 여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합참은 “우리 군은 관련 동향을 지속적으로 감시·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4일 전방 지역에 설치된 고정형 대북 확성기 20여 기의 철거 작업에 착수, 5일에 전량 철거를 완료했다. 이는 지난 6월 11일 대북 방송 송출을 중단한 데 이어 심리전 장비 자체를 창고에 보관한 것으로, 북한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대외적으로 드러낸 조치로 평가됐다.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의 대남 확성기는 남측보다 수량이 많고, 대부분이 고정식이다. 이번에 북한이 실제로 전 지역에서 확성기를 철거할 경우, 이는 남측의 사전 교감 없는 단독 조치에 대한 맞호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번 상호 철거 움직임이 군사적 긴장 완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각에선 남북이 확성기 방송 등 심리전을 동시에 중단하면 사실상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이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다.
비록 국무회의 의결로 군사합의 효력을 공식적으로 살린 것은 아니지만 ‘일체의 적대 행위 금지’라는 합의 정신을 실행에 옮기는 셈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지난해 6월 남측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것은 북한의 무력 시위에 대응하기 위해 군사합의 효력을 중지한 데 따른 것이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