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삼성전자가 15~16일 양일간 ‘삼성 AI 포럼 2025’를 열고 글로벌 석학들과 반도체 특화 AI와 차세대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술을 논의한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이번 포럼은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
 |
|
▲ 5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삼성전자 The UniverSE에서 진행된 '삼성 AI 포럼 2025'에서 삼성전자 전영현 대표이사 부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
첫날 포럼은 경기도 용인 삼성전자 The UniverSE에서 DS부문 주관으로 진행됐다.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는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조 강연에 나선 요슈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교수는 AI 남용과 통제 불능 위험성을 짚으며 검증된 데이터 기반으로 정직하게 답변하는 ‘과학자 AI(Scientist AI)’ 모델을 제안했다.
아밋 굽타 지멘스 EDA 부사장은 “AI를 반도체 설계 워크플로 전반에 통합해야 한다”며 엔드투엔드 시스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 DS부문 AI센터장 송용호 부사장과 POSTECH 강석형 교수, KAIST 문일철 교수 등은 반도체 설계·제조 현장에서의 AI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송 부사장은 “AI는 칩 설계뿐 아니라 제조 복잡성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삼성 AI 연구자상’에는 니콜라스 파프르노 토론토대 교수, 로즈 유 UC샌디에이고 교수, 르렐 핀토 뉴욕대 교수가 선정됐다.
둘째 날은 DX부문이 주관하며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를 주제로 온라인에서 진행된다. UC버클리 조셉 곤잘레스 교수, 애리조나주립대 수바라오 캄밤파티 교수, 스탠퍼드대 스테파노 에르몬 교수 등이 기조 강연에 나서 언어모델의 자율성, 추론 능력, 확산 언어모델(DLM) 기술을 발표할 예정이다.
삼성리서치 연구진은 △온디바이스 거대언어모델 △자동 더빙 AI △문서 AI △멀티 에이전트 기반 보고서 자동 생성 등 최신 성과도 공개한다. 삼성리서치 전경훈 사장은 “본격화되는 에이전틱 AI 시대에 맞춰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AI 기술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삼성 AI 포럼 2025’ 2일차 행사는 삼성전자 개발자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된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