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삼성디스플레이는 25일 타이베이 그랜드 메이풀 호텔에서 ‘삼성 OLED IT 서밋 2025’를 열고 주요 고객사와 파트너사 관계자 400여 명을 초청해 OLED IT의 미래 비전과 전략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글로벌 파트너십 행사다.
|
 |
|
▲ 25일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파트너십 행사 '삼성 OLED IT 서밋 2025'에서 이종혁 삼성디스플레이 대형사업부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삼성디스플레이 제공 |
올해 행사에는 인텔, HP, 레노보, 델, 에이수스, 에이서, MSI 등 세계 주요 PC·모니터 제조사가 참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조연설, 패널 토의와 함께 20여 종의 최신 IT OLED 기술을 전시하며 차세대 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이종혁 대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부사장)은 ‘IT’s OLED: Catch the Wave’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IT OLED는 압도적인 화질과 몰입감을 제공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도 확보해 대세화의 조건을 충족했다”며 “이제 생태계 전반이 협력해 시장을 선점하고 거대한 파도를 함께 만들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날 행사에서 구동 부품을 하나의 IC로 통합한 메인스트림 제품과 저전력 기술 ‘UT One’을 공개했다. UT One은 산화물 TFT 기반으로 1Hz 가변 주사율을 구현, 일반 OLED 대비 최대 3시간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을 제공하는 차세대 솔루션이다. 또 인텔과 공동 개발한 ‘SmartPower HDR’ 등 저전력 기술도 소개했다.
행사에는 돌비 연구소, JD닷컴 등 글로벌 파트너사도 참여해 OLED의 프리미엄 화질과 HDR 경험, 게이밍 시장 내 성장 잠재력을 강조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글로벌 노트북·모니터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 비중은 올해 약 3%에서 2029년 13%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상반기 출하량 490만 대를 기록, 2분기 시장 점유율 74%로 경쟁사 대비 압도적 우위를 나타냈다.
반면 BOE와 CSOT 등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공격적인 설비 투자에 나서고 있으나, 여전히 화질·수율·신뢰성 측면에서 국내 기업과 격차가 있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중국 업체들은 중저가 OLED 라인업 개발에 주력하면서 추격을 시도하고 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