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일본은 예외...한국은 100% 적용 불가피
[미디어펜=김견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수입 의약품 100% 관세 부과 조치에서 유럽연합(EU)과 일본은 예외를 적용받게 됐다. 반면 한국과 영국은 아직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아 당분간 고율 관세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로이터·블룸버그 통신은 26일(현지시간)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EU와 일본은 이미 협정을 통해 의약품에 대한 관세 상한을 15%로 보장받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100% 관세’ 발표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 내 생산시설을 건설하지 않은 기업의 의약품에 대해 2025년 10월부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EU는 지난달 공동성명에서 의약품·반도체·목재에 대한 최종 관세율이 15%를 넘지 않도록 합의했고, 일본도 최혜국 대우를 적용받기로 했다.

한국은 지난 7월 미국과 무역협정 큰 틀에서 합의했지만, 아직 최종 문안 확정 및 서명이 이뤄지지 않아 의약품에 대해 100% 관세가 적용된다. 영국 역시 의약품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아 한국과 동일한 상황에 놓였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의약품 수입액(2126억 달러) 중 한국산 비중은 1.9%(40억 달러)에 불과하다. 한국 전체 대미 수출액(1316억 달러)의 약 3% 수준으로 시장 규모가 크지 않지만, 경쟁국 대비 불리한 교역 환경이 지속될 경우 장기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선 의약품 분야 수출 규모가 아직 크지 않아 당장의 충격은 제한적이지만, 자동차에 이어 또 다른 품목에서 한국이 불리한 조건에 놓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한미 협상 타결이 지연된다면 의약산업 전반에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일부 시각도 제기되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 2월 유엔 무역통계데이터를 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전세계 의약품 최대 수입국인 미국의 지난해 수입액(2126억 달러) 중 한국산(40억 달러)의 비중은 약 1.9%였다. 한국의 전체 대미 상품 수출액(1316억 달러)에 견주면 약 3%에 해당하는 규모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