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국내 은행 2분기 영업실적이 취약업종 대손충당금 규모에 따라 명암이 갈렸다.
1일 금융감독원(원장 진웅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분기 국내은행의 당기 순익은 400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적자 전환됐다.
은행 유형별로 보면 특수은행의 적자가 특히 심했다. 산업은행 등 특수은행 5곳의 영업손실은 2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반면 시중은행은 1조원이 넘는 당기 순익을 거뒀다.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시중은행 6곳은 1조 3000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 이는 1년 전보다는 3000억 원 줄어든 규모지만 구조조정 충격에 미리 대응해 선방했다는 평가다.
반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주채권자인 국책은행을 포함한 특수은행들의 적자폭은 컸다. 대출 회수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 쌓는 대손비용 규모에서 발목이 잡혔다.
산은 등 국책은행들은 부실 대기업 대상 대출 비중이 높아 대손비용이 급증한 것. 2분기 중 국내은행의 대손비용(대손준비금 전입액 포함)은 6조 3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무려 4조 1000억 원 늘었다.
증가액은 모두 특수은행에서 나왔다. 특수은행 대손비용은 5조 2000억 원으로 4조 1000억 원 증가했다. 반면 일반은행의 대손비용은 1조 1000억원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특히 증가액의 약 60%가 산업은행의 몫으로 충격이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