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부품 의무사용 등 간접 타격도 예의주시
"한미 FTA 개정협상 정부가 적극 협상해야"
[미디어펜=최주영 기자]한미 양국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을 개시하는 가운데 완성차 업계가 그 어느때보다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수출 실적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이 관세를 부활시킬 경우 국산차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는데다, 미국산 부품 의무 사용 등을 요구할 수 있어서다. 통상 압박을 가할 경우를 대비해 업계는 최상의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 수출을 위해 선적 대기중인 자동차./ 사진=미디어펜


5일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국가끼리 협상이 진행되는 만큼 관심을 두고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미국측의 관세 부활이 개정안에 담기지 않더라도 미국산 부품 사용 등을 요구할 수 있어 나름의 대응전략을 세워야 할 때”라고 말했다.

우선 트럼프 정권 초기 때 우려 했던 것처럼 완성차에 대한 관세가 되살아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FTA 발효이후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 흑자가 140억달러(약 15조원)로 알려졌지만 이는 국내 기업의 기술력이 미국 차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국내 완성차 맏형격인 현대·기아차의 경우 미국 내 판매 차량 중 60%는 현지 생산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관세가 부활한다고 해서 큰 타격이 예상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다만 자동차 분야에 대한 원산지 규정 변경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은 최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을 앞두고 완성차 무관세 수입은 어쩔 수 없더라도 거기 들어가는 부품만은 더 많은 미국산을 쓰도록 관련 조항 추가를 요구했다. 

실제 미국은 이같은 주장을 바탕으로 한미 FTA 개정 협상에서도 유사한 요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 국내 완성차는 원산지 인증 비용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납품처를 미국 현지 기업 위주로 재편해야 한다. 

   
▲ 국내 완성차 미국 수출 추이. 2013년 이후 3년 동안 상승 흐름을 보였으나 2015년 기점으로 하락하고 있다./그래프=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제공


한국GM이나 르노삼성 같은 다국적 기업의 경우 국내에서 생산한 차량의 미국으로의 수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대미 무역 흑자 증가세도 제동이 걸린다.

업계는 최근 국내 완성차 업계 수출실적이 내려가는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해 이같은 우려를 사전에 불식시켜 줄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국내 완성차 업체 5개사의 지난해 한 해 수출과 해외판매 실적을 집계한 결과 전년보다 7.91% 줄어든 664만5973대로 집계됐다.

자동차와 농축산물 등의 미국측 공세에 맞서 정부는 최대한 우리의 이익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이끄는 한편 미국측에 요구할 카드도 다양하게 마련 중이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해 12월 국회 업무보고에서 한미 FTA 개정 협상과 관련해 "협상 중 가장 많이 시달릴 부분은 자동차와 차부품"이라며 "(미국 측이) 우리측 무역흑자를 이유로 미국산 자동차가 국내에서 더 잘 팔릴 수 있도록 조치를 해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