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대로 신차배정·본사 이윤구조 개편·노조 설득...실패시 '철수' 가닥
[미디어펜=최주영 기자]한국GM의 운명이 3월 결정될 전망이다. GM 최고위 경영자는 13일 한국GM과 이해관계자에 다음 단계에 대한 중대 결정을 시행할 시점으로 '이달 말'을 못박았다. 중대 결정이란 '신차 배정'과 '완전 철수' 중 한 가지를 의미한다. 

상황은 부정적으로 흘러가고 있다. GM은 한국GM 증자를 요청한 상황에서 정부가 자구안을 요구하자 군산공장 폐쇄 결정을 내렸다. 정부도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GM측의 노력도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추가 구조조정시 30만명의 일자리를 위협받는 상황이어서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 한국지엠 군산공장 /사진=연합뉴스

◇GM-한국GM-정부 삼각편대 깰 시나리오는

업계에서는 한국GM의 행보에 대해 3가지 시나리오로 압축하고 있다. 우선 정부와의 조율을 거쳐 글로벌 GM이 예정대로 한국GM에 신차 배정 및 투자를 지속하는 방안이다. GM은 통상 3월초부터 글로벌 생산기지에 신차를 배정하는데 이때 스터디셀러 등 인기 차종을 배정받지 못할 경우 매출을 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GM의 투자에는 한국 정부의 자금지원과 노조의 비용절감 동의가 필수적으로 수반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미 정부는 관련부처들과 함동으로 지원을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황이지만 GM에게도 책임있는 자세로 한국GM 경영정상화에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 경우 한국GM에서도 자구안 마련을 위한 작업에 돌입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양측이 얼마나 빠르게 조율과 협의를 거치느냐에 따라 한국GM이 국내 사업을 지속할 수 있을지 여부도 결정된다.

다음으로, GM 본사와의 이윤 구조를 해소해 자금 부담을 덜어내는 방안이다. 한국GM은 GM홀딩스로부터 2조4,033억원을 차입하면서 최대 5.3%의 높은 이자율을 내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또 과도한 이전가격과 더불어 수출시 94%의 높은 매출원가율도 문제로 꼽힌다. 한국에서 생산하는 것에 대해 본사에 로열티도 줘야한다. 

홍영표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은 전날 국회에서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이같은 구조에 대해 “본사 부채 문제와 금융 이자, 금융 부담, 부품을 더 비싸게 일부 가져오는 것, 특허료와 로열티, 이전가격 등 이런 문제가 있다”며 “구조적으로 어떤 이익을 내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노조 설득을 통한 단계적 구조조정도 방법이다. 정부가 한국GM에 대한 자금 지원을 결정하더라도 현재의 고비용 구조로는 유동성이 오래 가지 않을거란 판단 때문이다. 한국GM 직원들의 연봉은 계속 올랐다. 2013년 7300만원이던 1인당 연간 평균 연봉은 지난해 8700만원으로 약 20% 뛰었다. 한국GM 출범 당시인 2002년과 비교하면 2.5배 가량 상승했다.
 
◇최악의 경우 '철수'

이달 말로 한국GM을 부활시킬 방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나머지 공장들이 폐쇄 수순을 밟는 '철수'에 직면하게 된다. 앞서 앵글 부사장이 밝힌대로라면, 한국GM에 대한 지원이 부재할 경우 창원과 부평 공장 등 국내 사업장에 대한 추가 구조조정이 거의 확실시된다. 한국GM은 인천 부평과 전북 군산, 경남 창원에 완성차 공장을 운영 중이다. 

전체 고용 인원은 직접 고용 1만4200여명에 협력업체 직원을 포함하면 30만명이다. 사실상 국내 완성차 3위인 한국GM을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국은 지난해 세계 자동차 생산 10대국 가운데 유일하게 2년 연속 자국 내 생산이 줄었다. 세계 6위 생산국(411만4913대) 자리는 겨우 지켜냈지만, 7위 멕시코와의 격차는 4만 대 수준으로 좁혀졌다. 한국GM이 국내에서 담당하던 생산분이 사라질 경우 총 생산량이 22%(CDK 포함 106만대/481만대) 더 줄어든다. 이 경우 완성차 산업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