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비전 2030' 일환으로 원전 사업 강화 모색
한국, 탈원전 속 원전 생태계 보전 위해 수출 필요
[미디어펜=나광호 기자]한국이 사우디 원전을 수주할 경우 양 측이 '악어와 악어새' 같은 공생관계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은 원전 생태계 보존과 제3국 진출을 모색할 수 있고, 사우디는 '비전 2030' 추진과 안보 위기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 2022년 원전의 발전 단가가 태양광의 1.5배로 증가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온 것은 원전의 비중 감소로 부품산업을 비롯한 전후방 산업의 경쟁력 후퇴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영국과 프랑스에서도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 동안 기술력 저하 및 인력 유출 등 원전 생태계가 붕괴, 한국을 비롯한 외국 업체에게 부품 조달 및 건설을 맡겨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발전단가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 지난 4일 본관 접견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칼리드 알팔레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장관이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한국도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탈원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을 통한 건설이 막힐 경우 이들 국가의 전철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전 가동률이 지난해 1분기 75.2%에서 올 1분기 56.4%로 낮아지면서 순이익이 8618억원에서 125억원으로 '수직 낙하'했다. 한국전력공사도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 1분기에도 적자를 기록했으며, 탈원전이 본격화될 경우 추가적인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

두산중공업 역시 신규수주가 2016년 9조원에서 지난해 5조원으로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매출과 영업이익 역시 각각 7.4%·33.8% 하락하는 등 직격탄을 맞은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영국·체코·사우디 원전 수주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하에 이들 국가를 방문해 협력을 강화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지난 4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칼리드 알 팔리흐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장관을 만나기도 했다.

   
▲ 한국형 신형원전 'APR 1400' 모형도/사진=한국수력원자력


사우디도 한국과 원전 건설 계약을 체결할 경우 경제성과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이득을 볼 수 있다.

현재 사우디가 추진 중인 1400MW급 원전 2기 건설 사업에는 한전을 비롯해 중국 광핵집단·미국 웨스팅하우스·러시아 로사톰·프랑스 아레바 등 5개사가 프로젝트 의향서를 제출했으나, 경험·수주여력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인 후보자는 한전이 유일하다는 분석이다.

한국 원전은 발전기 전기출력(1KWe) 당 건설비가 미국·영국·프랑스의 절반 이하이며, 비계획적발전손실률은 25% 이하를 유지하는 등 '가성비'에서 경쟁국을 압도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한국형 신형 원전인 'APR 1400'의 경우 방사성 물질 유출을 비롯한 중대사고 발생 확률도 기존 원전의 10% 수준인 10만분의 1에 머무르며 △단전 및 냉각장치 고장에도 작동하는 비상 냉각장치 △전원 없이 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설비 △규모 7.0의 지진에도 견디는 내진설계 등의 안전장치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우디는 이란 핵협정 관련 정세 불안 및 예멘 사태를 비롯한 안보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기 개발도 고려하고 있어 안정적인 원전 가동을 통한 우라늄 농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원전 건설이 다시 활성화되는 가운데 '탈석유'를 골자로 한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원전 산업의 발전을 모색, 한국과 '윈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