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자금대출 규모 169억원에 상환유예 자금 1356억원까지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발 경제 불황이 상호금융권을 향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앞서 IMF, 금융위기 당시 대형은행들과 금융회사 등에서 시작된 위기와 달리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는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비정규직 같은 취약계층부터 흔들고 있다. 

이에 상대적으로 취약계층 대출을 많이 다루고 있는 상호금융권이 경제위기 부실 뇌관으로 지목될 가능성이 커지며 이들의 재무 건전성에도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 사진=연합뉴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상호금융권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76조900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15.6%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새마을금고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39조6340억원으로 이가운데 21조7989억원은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의 개인사업자 대출금인 것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 소상공인 누적 대출금은 2년 전인 2017년 말 5조6322억원보다 4배 가량 증가했다. 전년 말 10조2257억원과 비교해도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신협 역시 중소기업 대출 잔액 가운데 47%인 14조7000억원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받은 대출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 11조4000억원에 비해 30%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저소득 자영업자는 업황 부진을 견딜 여력이 부족하고, 경기가 둔화하면 대출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연체율 역시 코로나19 경제 불황이 닥치기 이전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한국 경제의 부실 뇌관이 될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해 새마을금고의 중소기업대출에 대한 연체율은 2.15%로 전년 1.94%를 기록했던 것보다 0.21%포인트 증가했다. 신협 역시 2017년 당시 1.78%이던 연체율은 지난해 말 2.75%로 큰 폭 늘었다.

더욱이 상호금융권에선 코로나19 사태 이후 서민들을 위한 긴급자금대출 규모 확대와 상환유예 등의 서민 금융지원 정책을 가속화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에 더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지난 23일 기준 새마을금고의 긴급자금대출 규모는 169억원이 집행됐으며, 상환유예 자금은 1356억원 수준이다.

한 상호금융업권 관계자는 “완전한 집계가 이뤄지진 않았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연체율은 지속적으로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연체율 상승에 대한 안전장치도 수시로 점검하고 있지만 불안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업권 관계자는 은행권에 치우친 금융당국의 지원 대책을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은행 심사에서 탈락한 취약계층의 경우 제2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다"며 "제2금융권에서도 자구책으로 서민들에게 지원하는 것을 넘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각 사의 재무건전성을 위해 연체율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