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리스크에 포함된 것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가운데, 한미 당국이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협의를 21일(현지시간) 개시했다.
|
 |
|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사진=연합뉴스 |
안 장관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단 간담회를 열고 "민감 국가로 지정돼도 진행중인 협력이나 향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게 미국 측의 설명"이라면서 "한미 양국간 과학기술 협력과 산업·에너지 협력 등에는 문제가 없을 것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앞서 안 장관은 전날 에너지부에서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 면담했다. 양측은 한국의 민감국가 지정 문제를 절차에 따라 조속히 해결키로 합의했다고 산업부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워싱턴DC의 한국 특파원단과 만나 미 측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구체적 사유를 설명했는지를 묻는 말에 "특별하게 사유를 특정한 바는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미 언론에 나온 것처럼 기술의 전반적인 틀이 지금 바뀌면서 기술 안보 문제에 대해서 상당히 지금 우려하고 있다"며 "그런 차원에서 한국을 등재하게 된 것이라고 (미 측은) 설명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이 민감국가 리스트에 추가된 것과 관련해 트럼프 정부가 새로운 요구를 하는 것이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추가로 우리한테 요구하는 것보다는 이 상황을 빨리 해결하고 앞으로 양국 간 협력하는 데 더 문제가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이 양국 당국의 분위기"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