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연 2.75%에서 동결 유력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주요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한국은행도 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묶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이 경제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등을 이유로 '금리인하 신중론'을 유지하고 있는 데다 정부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이후 과열된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급증세가 우려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 이창용 한은 총재가 지난달 25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한은은 앞서 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종전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다음 달 17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2.75% 수준에서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가 2%대로 내려온 것은 지난 2020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한은은 지난해 1월과 11월 올해 2월 총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p) 인하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9%에서 1.5%로 하향 조정되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하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시사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섣불리 금리를 내리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위원 6명 중 4명은 지난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3개월 내 연 2.7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을 냈다.

연준은 지난 18∼19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이날 성명서에 "경제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는 문구를 새로 추가하고, "고용 및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의 리스크가 거의 균형을 이뤘다고 판단한다"는 표현은 삭제했다. 연준이 이날 발표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1.7%로, 지난해 12월 전망치인 2.1%보다 0.4%p 하향 조정됐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기자회견을 통해 "경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정책 기조 조정은 인플레이션 추이와 정부 정책 변화 등을 지켜보며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론도 견지했다. 연준은 경제전망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 3.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기준금리가 4.25~4.50%임을 감안할 때 0.25%p씩 2차례 금리인하가 있을 것임을 예고했다. 지난해 12월 제시한 전망치와 일치한다.

토허제 해제 이후 들썩이는 집값과 치솟는 가계대출 상황도 금리인하 결정에 발목을 잡는 요인이다. 토허제 해제 여파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집값이 들썩이자, 정부는 토허제 해제 한달 만에 부랴부랴 토허제 확대 재지정에 나섰지만, 그 사이 주춤했던 가계대출도 급증세를 보였다. 지난달 전(全)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1672조원으로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1월 10개월 만에 9000억원 감소했다가, 한 달 만에 증가 전환했다.

다수의 금통위원도 토허제 완화 이후 부동산 시장 과열에 따른 가계대출 급증을 경계하고 있다. 한은이 전날 공개한 '2025년 제4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서울 일부 지역의 토허제 지정이 해제되면서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매도호가가 급증했다"며 "수도권 여타지역에서도 주택가격 선행 지표들 간 엇갈린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향후 주택시장이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과열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대출 증가나 금융여건 완화 등이 주택시장을 추가 자극해 가계대출 등 금융불균형 상황을 다시 악화시킬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위원도 "최근 서울 일부 지역에 대한 토허제 해제가 주택가격 및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각심을 갖아야 한다"고 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