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수 있는 것은 다 하겠다는 의지의 표명"
野 내부서 '의원 총사퇴·조기 총선' 의견 표출
[미디어펜=진현우 기자]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013년 이후 12년 만에 천막당사 운영을 24일 시작했다. 이날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을 기각하는 결정을 내렸지만 민주당 내부에서는 이날 헌법재판소 결정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기각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 지배적이다. 

이 때문에 이날 천막당사 설치는 윤 대통령 파면을 위한 민주당의 막판 여론전이 최고조에 달한 것을 의미하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이재명 당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에 천막당사를 마련하고 이날부터 당내 각종 회의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날 천막당사에서 진행된 당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박 원내대표는 "헌법재판소가 윤 대면할때까지 광화문 천막당사 투쟁 거점 삼아 국민과 함꼐 내란 종식 위해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24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부근 광화문 더불어민주당 천막당사에서 현판식을 하고 있다. 2025.3.24./사진=연합뉴스

민주당이 거리에 천막당사를 마련한 것은 지난 2013년 김한길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국가정보원 개혁을 요구하며 서울시청 앞에 천막당사를 설치한 이후 13년 만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미디어펜과의 통화에서 천막당사 설치에 대해 "할 수 있는 것은 다 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민주당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는 국회의원직 총사퇴 및 조기 총선 실시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필요하다면 여야 국회의원들이 모두 총사퇴하고 총선을 다시 치르자"며 "어차피 이 정도 내란 상황이라면 국회를 차라리 재구성해서 체제를 정비하고 재출발하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천막당사 설치를 두고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둔 상황에서 막판 총공세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오는 26일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 항소심 선고가 나오는 상황에서 헌법재판소와 그리 멀지 않은 광화문에 천막당사를 세운 것도 주목할 만한 요소다.

일단 민주당 내부에서는 윤 대통령 파면에 무게를 더욱 싣는 분위기이다. 또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계엄 초기와는 다르게 기각·각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는 등 여론 지형이 약간 변하면서 위기감이 좀 있긴 있다"면서도 "탄핵이 기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고 말했다.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 역시 한 총리에 대한 탄핵 기각은 윤 대통령 파면의 전조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SNS에 "헌재가 한 총리의 탄핵소추 기각을 결정한 것은 윤 대통령의 탄핵안 인용에 앞선 사전 국정 안정조치라고 생각한다"고 적었다.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파면을 앞두고 한 총리 탄핵을 기각해 '국정 컨트롤 타워'를 유지해준 것이라는 의미이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월 24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인근에 설치된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탄복을 입고 이동하고 있다. 2025.3.24./사진=연합뉴스
한편, 민주당의 광화문 천막당사 설치와 관련해 국민의힘 내 유력 대권 잠룡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오세훈 서울시장은 해당 천막당사를 철거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신선종 서울시 대변인에 따르면 오 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시 간부회의에서 "해당 구청(종로구청), 경찰청 등과 협조해 변상금 강제 철거 등 관용 없는 행정력을 집행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대해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쫓아내려면 쫓아내라"며 "민주당 광화문 천막당사는 투쟁의 거점이자 민의의 구심점으로 끝까지 남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당내 일각에서도 민주당이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 등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는 가운데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두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천막당사 설치 등 정쟁 만을 앞세우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한 의문도 나오고 있다. 
[미디어펜=진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