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2일부터 주요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우리 정부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이에 대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안덕근 장관의 방미 성과에 대해 "양국 간 체결된 한미 FTA 때문에 상호관세 실행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0에 가깝다는 걸 설명했고, 미국 측도 이를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고 밝혔다.
앞서 안덕근 장관은 지난달 말에 이어 지난 20~21일 3주 만에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미국 상무부와 에너지부 장관 등 주요 인사를 면담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안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첫 만남 대비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서 논의를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 측에) 잘못된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우호적으로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러트닉 장관도 상무부 차원에서 우호적으로 교류하겠다고 언급했다"고 했다.
다만 내달 2일 상호관세 부과에 대한 최종 결정의 키는 트럼트 대통령의 손에 달려 있다. 이 관계자는 "상무장관이나 USTR에서 건의하겠지만, 각료들마다 얘기가 조금씩 다르다"며 "트럼프 자체가 관세 부과를 어젠다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결정은 트럼프가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즉시 발효될 것이라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시나리오가 있는데, 이와 별도로 최악의 시나리오인 관세 부과를 가정해서 대비하고 있다"며 "실질적으로 예고만 할지, 뒤로 밀릴지는 상황이 돼 봐야겠지만, 기본적으로 가장 나쁜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복관세에 대해서는 "상호관세에 있어 미국이 우리에게 우호적인 대우를 해줄 것에 집중하고 있다"며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관세율 등 주요 경쟁국과 같이 검토하는 것이 먼저고, 그 이후 판단해야 할 상황"이라고 했다.
정부는 대미수출이 많은 품목이 관세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보고, 미칠 영향과 지원 방안을 지속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