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기후변화에 대응해 원예농산물의 공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첫 현장 간담회가 열렸다. 원예농산물의 생산과 수급 등 전반적인 대응책을 논의하고 현장 실행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
 |
|
▲ 제1차 기후변화 대응 현장 포럼./사진=농식품부 |
농림축산식품부는 24일 오후 전주 농업위성센터에서 ‘기후변화 대응 원예농산물 생산 및 수급 안정대책’의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보완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제1차 기후변화 대응 현장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농식품부·환경부·기상청·통계청·농진청 등 정부부처와 농협·aT·농어촌공사·KREI 등 유관기관, 생산자·소비자·유통단체,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돼 주제에 따라 참여자가 선정된다.
앞서 농식품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원예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3대 전략 및 12대 중점 추진과제를 발굴했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과제별 세부계획을 추진 중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기후변화 대책 특성상 각 과제의 현장 적합성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관계기관이 매월 공동으로 기후대응 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다.
과제로는 △생산·공급 관리강화(데이터 기반 관측 강화, 비축역량 제고, 국내외 재배적지 발굴) △적응력 강화(스마트농업 확산, 품종 개발) △유통 제도 및 관행 개편(유통구조 효율화, 스마트 소비 확산)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또한 포럼은 보다 많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농업현장에서 기술지도 등을 책임지고 있는 전국의 농업기술원 및 농업기술센터와 품목별 생산자단체 등도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게 운영한다.
농산물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생산예측의 정확성 제고’라는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하는 만큼 제1회 기후대응 포럼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진흥청과 함께 ‘데이터기반 생산관리 및 관측 강화’ 과제에 대한 추진 상황을 공유하고, 농업관측 고도화 방안이 논의됐다.
올해 하반기 이후 발사가 예정된 농림위성은 주요 작물 재배면적 산출의 정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황 정보와 농업재해 모니터링 등 다방면으로 활용될 예정인데, 이번 포럼에서는 작물 생산량 및 가격정보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농림위성·드론이 촬영·분석한 원격탐사 자료와 인력을 활용한 실측자료 및 인공지능(AI)의 활용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이에 김대희 한국미래농업연구원 원장은 “농림위성이 정부의 수급정책 의사결정에도 도움이 되겠지만, 양질의 데이터 축적과 관련 서비스·산업 개발 등 종합적인 관점에서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고품질 농업경영체 정보인 농업마스터 데이터베이스(DB)를 농진청의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와 연계해 농가에 맞춤형 재해 대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가 맞춤형 생산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기후변화 대책을 철저하게 이행하고, 포럼을 통해 청취한 의견은 기후변화 대책 후속조치 시 보완·반영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 제고를 통해 선제적으로 수급을 관리하고 농산물이 안정적으로 생산·공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