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민서 기자] 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으로 확산해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낳은 산불이 발화 149시간 만에 꺼졌다. 이번 불로 축구장 6만3245개, 여의도 156개 면적의 국토가 잿더미가 됐다.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영덕, 영양을 시작으로 피해 5개 시·군의 산불 주불이 잇따라 진화됐다.

   
▲ 28일 괴물 산불 진화에 정부의 모든 소방 자원이 총동원된 가운데 안동시 남후면 고상리에 발생한 산불을 소방헬기가 수없이 날아와 진화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번 산불은 22일 오전 11시25분께 의성군 안평면·안계면 2곳 야산에서 시작됐으며 초속 10m가 넘는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번졌다. 안동, 청송, 영양 등 내륙과 최초 발화지에서 80㎞ 떨어진 동해안 영덕까지 피해 범위에 들었다.

산림당국은 산불 발생 후 산불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매일 진화 헬기와 인력, 장비 등을 대거 동원해 주불 진화, 국가주요시설·민가·문화유산 주변 방화선 구축 등에 총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강풍과 건조한 날씨 등으로 불리한 진화 여건이 이어져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2∼3㎞ 앞까지 불길이 근접하는 상황도 연출됐다. 

하지만 전날 오후부터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5개 시·군에 1∼3㎜가량 비가 내리면서 산불 확산 속도가 둔화됐다. 산불 진화에 유리한 기상 환경이 조성되면서 작업에도 속도가 붙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63%에 머물렀던 진화율은 이날 낮 12시 기준 94%까지 올랐다.

   
▲ 화마가 할키고 간 천년고찰 고운사. 무너져 내린 법종만이 덩그러니 남아있어 피해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번 경북 산불에 따른 산불영향구역은 이날 오전까지 4만5157㏊로 집계돼 역대 최대 산불 피해를 냈다.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산불 피해 범위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안동, 영덕 등에서 주민 등 24명이 사망했고, 주택 등 시설 2412곳이 불에 타는 피해가 났다.

이날 오전 기준으로 대피한 의성, 안동 등지 주민은 6322명이다.
[미디어펜=김민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