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농촌소멸대응 빈집재생지원 사업지구로 전남 강진군, 경북 청도군, 경남 남해군 3곳을 선정했다.
|
 |
|
▲ 농촌소멸대응 빈집재생지원 사업계획.(강진군·청도군·남해군)/자료=농식품부 |
농촌빈집재생지원사업은 빈집이 밀집된 지역을 대상으로 민간과 지자체가 협력해 빈집 활용 방안을 공동으로 기획하는 사업이다.
민간의 창의성과 전문성에 기반한 아이디어와 지역의 특색 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지역에 사람을 이끌도록 빈집을 주거·워케이션, 문화·체험, 창업 공간 등으로 구성한다.
사업지구 선정 시 △참여기관의 사업 유사 실적 등 전문성과 시설 운영 관련 지역 환원 계획 △특색 있는 아이디어 등 계획의 차별성 △빈집 정비 시 파급효과 등을 고려한 대상지 및 입지 적절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선정된 지구에는 3년간 지구당 총 21억 원이 지원된다. 국비 30%, 지방비 50%,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농어촌 상생협력기금 20%가 각각 투입된다.
선정된 지구들은 민간과 협업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빈집 활용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강진군은 농촌체험민박과 마을호텔 등 숙박시설, 농촌 체험시설, 편의시설, 창업과 문화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청도군은 마을호텔, 게스트하우스와 문화·체험 공간을 조성하고, 마을 도슨트(안내인) 양성 프로그램 계획을 제시했다. 남해군은 워케이션 공간과 공유주방 등 주민공동 이용시설을 만들고, 시설 관리 플랫폼과 마을·빈집활동가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박성우 농식품부 농촌정책국장은 “부처와 지자체, 민간이 함께 농촌빈집재생사업 추진에 기량을 발휘해 방치됐던 빈집이 정비를 넘어서 농촌에 생활인구를 끌어들이고 지역에 활기를 돋아주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