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진현우 기자]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제77주년 제주 4·3사건 희생자 추념일인 3일 "민주당은 4·3의 역사를 잇고 민주화, 인권과 평화가 강물처럼 흐르는 더 굳건한 민주주의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당 현장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해 "(4·3 사건처럼) 불법, 부당한 국가 폭력에 의한 국민의 희생은 이 땅에서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반헌법적, 반민주적, 반인륜적 중대 범죄"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제주도민의 10분의 1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제주 4·3 사건은 대표적인 국가 폭력 사례였다"며 "윤 대통령이 저지른 12.3 내란(비상계엄) 사태도 바로 이런 범죄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군이 한 언론사 기자를 케이블타이로 결박하는 듯한 국회 내 CCTV 영상이 공개된 점 등을 언급하며 "윤 대통령 파면을 입증하는 증거들은 이미 차고도 넘친다"고 강조했다.
|
 |
|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4월 1일 서울 광화문 앞 민주당 천막당사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사진=연합뉴스
|
박 원내대표는 "노동자, 농업인, 학생, 종교인, 문화예술인, 교육자 등 각계 각층의 국민은 물론이고 대표적 보수 인사들조차 '탄핵 기각은 군사독재 시대로 회귀를 뜻하며 헌법은 휴지 조각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며 "세계의 석학과 외신들도 윤석열이 복귀하면 한국의 위기와 혼란은 더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는 4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선고를 내리는 헌법재판소를 향해 "헌법 수호자인 헌법재판소가 내일(4일) 헌법 파괴범 윤 대통령을 주저없이 파면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진행되는 현안질의에 불출석을 통보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국회를 대놓고 무시하는 것은 국민을 무시하는 것과 같다"며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비판했다.
[미디어펜=진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