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지 기자]송호성 기아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현재로서는 (미국 시장에서 차량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송 사장은 이날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가 발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구체적인 대응을 말하기에는 너무 빠른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관세 이슈는 국가와 국가 간에 벌어지는 부분이라서 저희는 그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숙제인 것 같다"며 "기아의 장점은 가장 유연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체질을 갖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부적으로 방향이 설정되면 어떻게 신속하게 대응할 것인지 잘 극복해 나갈 것인지 연구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신공장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에서 생산할 차량에 대해서는 "생산량의 40%가 기아 차량이 될 것"이라면서 "내년 중반부터 생산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
 |
|
▲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에서 송호성 기아 사장(왼쪽)이 참석자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이어 "조지아 기존 공장에서 EV6, EV9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는 만큼 HMGMA에서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생산될 것으로 생각된다"며 "미국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수요가 많이 늘고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모델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아의 첫 픽업트럭 '타스만'의 북미 시장 진출 가능성에 대해 송 사장은 "타스만은 원래 미국과 유럽을 제외한 일반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모델"이라며 "미국 시장의 픽업 트럭은 현재 검토 중이다. 어느 타이밍에 들어갈 것인지 검토 중이니 적절한 시점에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기아가 북미 시장을 겨냥해 별도 개발 중인 픽업트럭에 대해서는 "대형 픽업보다는 미드사이즈급으로 친환경 파워트레인을 탑재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이르면 2028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 사장은 멕시코 공장 수출 전략과 관련해서는 "현재로서는 기존 공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