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합동 美 관세조치 대책회의…긴급 지원 대책 마련키로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미국이 모든 한국산 수입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한 가운데, 정부가 업종별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긴밀한 대미 협의를 추진하기로 했다.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산업부는 안덕근 장관 주재로 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업계 및 관련 경제단체·연구기관들과 '민관 합동 美 관세조치 대책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2일(현지 시간) 오후 4시 국가비상경제권법(IEEP)에 근거해 모든 국가에 대해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한국과 일본, EU 등 주요 무역적자국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5% 관세(기본관세 10%+상호관세 15%)를 부과받을 예정이다. 관세조치 발효시점은 10% 기본관세의 경우 5일, 국별 상호관세는 9일이다.

주요국 관세율을 보면 중국 34%, 일본 24%, EU 20%, 베트남 46% 등이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USMCA 미충족 물품에 대해 기존 25% 관세를 유지한다.

또 기존에 품목별 관세를 발표한 자동차 및 철강·알루미늄과 구리·의약품·반도체·목재, 에너지 및 미국 내 미생산 일부 광물 등에 대해서는 이번에 발표한 관세조치와 중복 적용되지는 않는다고 발표했다.

이날 대책회의에서 정부는 우리 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정관과 통상교섭본부장 등 고위급 및 실무급의 대미 협의를 적극적·입체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미 정부의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에 대한 구체적인 영향 분석과 함께 긴급 지원 대책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 

안 장관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미국의 관세조치가 우리 경제 및 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업종별 지원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정부는 통상교섭본부장 방미를 포함해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