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던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폭탄이 미 본국을 강타했다. 지난밤 뉴욕증시 3대 주요지수 모두 크게 폭락하며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초기였던 지난 2020년 이후 5년여만에 최악의 하루를 맞이했다.
|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던진 상호관세 폭탄이 미 본국을 강타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3.98%) 떨어진 4만545.93에 장을 끝마쳤다. 우량주로 구성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4.84%) 내린 5396.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5.97%) 추락한 1만6550.61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는 이날 하락으로 지난 2월 고점 대비 약 12% 떨어지며 다시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저점 기록을 또 한번 경신했다.
이날 하루 미 증시에선 약 3조1000억달러(약 4500조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기술주도 충격을 피해가지 못했고, 특히 미국 외 공급망 의존이 큰 중 기업이 크게 타격 받았다.
시총 1위 애플은 9.25% 떨어졌고, 엔비디아는 7.81% 하락했다. 나이키는 14.44% 급락했고, 할인상품 유통업체 파이브빌로는 27.81% 폭락했다. 갭(Gap) 등 의류 브랜드도 20% 넘는 낙폭을 기록했다.
일명 ‘공포지수’로 불리는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30.2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여파로 미국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한 것과 관련해 “그것은 예상했던 것”이라며 “(미국) 경제는 많은 문제가 있다. 그것은 수술받았으며 경제는 호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증시의 급락세에 국내 증시 역시 직격탄을 맞았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1.46% 하락한 2450.49에 장을 시작했다. 코스닥 지수는 0.92% 빠진 677.23으로 장을 열었다.
전날 상호관세 충격을 이미 한 차례 반영한 국내 증시지만 미국 증시 급락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현재 국내 증시가 밸류에이션상 역사적 밴드 하단 부근에 위치한 만큼 추가 하락폭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일시적으로 후행 주가순자산비율(PBR) 0.8배인 2360선, 혹은 그 이하로 내려갈 수는 있겠으나 수시로 반등을 주면서 하방 경직성을 확보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해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관세 부과에 반응했는데 반응 강도는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 당선 가능성이 확실해지던 수준까지”라며 “코스피는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R) 기준 0.8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은 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하방 리스크는 크지 않다”면서 “업종에서는 미국 생산이 어려운 반도체, 조선 등이 관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